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민간투자사업의 공공성 보장을 위한 관리체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일본 민간투자사업법(PFI)상의 운영권제도와 지정관리자제도를 대상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for the Public Utility of Private Investment Projects

최우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bparagraph 1 of Article 2 of the Act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 stipulates the types of social infrastructure by enumerating 53 types in total, recognizing a wide range of social infrastructures. However, such legislation of a wide range of infrastructure gives rise to a question; are all the listed facilities really to be constructed by inducing an investment from the private sector? In Japan, they provided only a general idea through legislation, so that details should be decid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law. Although it may be worthwhile to induce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in constructing or enlarging the facilities of the overwhelming public nature, it may be wise to derive benefit from the Japanese designated manager system in which facilities are constructed using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public fund while leaving the management of such facilities to the private sector, making the best use of the private sector’s capability. Since the purpose of recognizing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in social infrastructure through legislation is not to give up the public nature of infrastructure, but rather to expand it,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inducing the private investment should not be attempted going beyond the limit, leading to damaging the public character. ‘The Act on Promoting Repairing and Improving Public Facility etc. through Utilizing Private Funds’ (“Private Finance Initiative Law”) was established in September 24, 1999 for implementation in Japan. The most remarkable feature of this law is that it stipulates the system of operating right of public facility. Another distinctive feature of Japan in respect of the public facility operation is that they operate the designated manager system stipulated in the local autonomy act. Advantages of the system of operating right of public facility will include ① reducing debts by selling off the operating right; ② operating the public facility without the financial burden; ③ effective·efficient operation of the public facility through introducing the private sector’s knowhow while securing the administrative manager’s involvement; and ④ the transfer of the market risk. Meanwhile, advantages on the part of the private sector participants will include ① operation of the public facility on the basis of their own creativity and study while securing earnings such as by charging a toll; and ② financing the project on the security of its operating right. The designated manager system is becoming the center of atten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ivate Finance Initiative Law. The Local Autonomy Act was revised in 2003, enabling the private businesses including the joint stock company to operate the public facility by introducing the designated manager system. The designated manager system allows not only the corporation invested by public bodies, bodies of overwhelming public nature and by the local entity, but also those including private businesses designated by the local entity to operate the public facility (Paragraph 3 of Article 244-2, the local autonomy act of Japan). The idea is to secure a framework enabling proper management and then remove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candidates prior to improving services to the citizens by selecting the most suitable candidate. In Japan, a designated manager system is being utilized for the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autonomy act, beginning from 2005. By entrusting the public facility operation to the private sector experts, the purpose is to achieve economic efficiency through reviving the adroitness of operation. Reviewing the management·operation of the public facility is also necessary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private financing initiatives. First of all, absolute ex post facto verification is becoming indispensable to the private financing initiatives. Verifiers, methods and the timing of verification at each stage of promotion for the private financing initiatives should be defined systematically. Second, if a local entity chooses to become a project operator,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de available, within the local entity should be established for such a project. For many of the project for which a local entity chooses to become a project operator, the local entity utilizes the government subsidy to finance such projects. However, such financing by means of a government subsidy is likely to weaken the local entity’s autonomy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leading to a laxity of moral fiber giving rise to insufficient administration. A proper plan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induce an autonomous and responsible private investment by establishing a full-scale fiscal decentralization.

한국어

민간투자법은 제2조 제1호에서 사회기반시설의 종류로 총 53개를 열거하고 있다. 상당히 광범위한 영역의 사회기반시설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모두 민간투자의 대상이 되는 사무인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는 법률에서 개략적인 부분을 정하고, 운영과정에서 세부적인 결정을 하도록 하고 있다. 공적인 성격이 강한 시설에 대해서는 민간투자를 통한 신설과 증설도 중요하겠지만, 그 보다는 일단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자금으로 공공시설을 건설하고, 그 관리는 민관의 역량을 살릴 수 있도록 일본의 지정관리자제도를 이용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민간투자법이 사회기반시설의 민간투자를 법적으로 허용하는 이유는 공공성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성의 확장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공공성을 훼손시키면서까지 민간투자의 장점을 유지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일본은 1999년 9월 24일 ‘민간자금 등의 활용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정비 등의 촉진에 관한 법률(PFI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의 가장 큰 특징은 운영권제도를 둔 것이다. 공공시설의 운영과 관련하여 일본의 또 하나의 특징은, 지방자치법에 ’지정관리자제도‘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운영권제도의 장점으로서는, ①운영권을 매각함으로써 기존 채무를 삭감할 수 있다는 점, ②재정부담 없이 공공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 ③관리자의 관여를 확보하면서 민간사업자의 노하우의 도입에 의한 효과적・효율적인 공공시설의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 ④시장위험성의 이전이 가능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민간사업자 측면의 장점으로는, ①자신의 창의성과 연구를 통하여 이용요금 수입을 동반한 공공시설의 운영이 가능하고, ②운영권을 담보로 하여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지정관리자제도는 PFI법의 시행으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제도이다. 공공시설의 관리를 일반 주식회사를 포함한 민간 사업자에게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지정관리자제도’를 도입하는 지방자치법 개정이 2003년에 있었다. 지정관리자제도는 공공단체, 공공적 단체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자법인만이 아니라, 출자법인 이외의 민간 영리기업도 포함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하는 자(지정관리자)가 공공시설의 관리를 대행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일본 지방자치법 제244조의2 제3항). 이는 적정한 관리를 확보할 구조를 마련한 다음, 수임자의 자격 제한을 철폐하고, 그 시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가장 적당한 사업자를 선정하여 주민서비스의 향상을 기하기 위한 제도이다. 일본은 2005년부터 지방자치법상의 지정관리자제도를 민간투자에도 활용하고 있다. 즉 공공시설의 관리를 민간전문가에게 맡김으로써 운영의 묘를 살려 경제적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민간투자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공공시설의 관리・운영에 관한 검토도 필요하다. 먼저,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철저한 사후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민간투자 사업의 각 추진 단계별 검증 주체, 방법 및 시기를 체계적으로 규정하여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시행자가 되는 사업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내부의 통합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시행자가 되는 많은 사업이 국가보조금을 기반으로 하여 지방자치단체가 비용을 조달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저해하고, 책임감을 둔화시켜 도덕적 관리 부실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과감한 재정분권을 통해,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이고 책임감을 가지고 사업을 수행하고 민간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도 검토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민간투자사업의 공공성과 관리
 Ⅲ. 일본 PFI법상 공공시설 등 운영권제도와 지정관리자 제도
 Ⅳ. 나오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우용 Choi, Wooyong.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