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본기분으로서 “설움”과 “절망”의 변주곡 ― 하이데거 관점으로 본 김수영의 시세계

원문정보

The variation of grief and despair as a fundament sentiment(Grundstimmung) ― Kimsooyoung’s poetic world in the Heidegger’s standpoint

임동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oet Kim Sooyoung has thought that poet is not man only to express his problem and troubles being faced and presumptive experienced by poems. He think that poet considers his problem as human being’s matter and troubles. But it is very exceptional for such a his poetic position that one of his main poetic emotion ‘grief’. But his ‘grief’ is not connected with the emotion of his sad personal circumstances or resentful conditions of life. Contrary, his ‘grief’ is connected with a sort of fundamental emotion that compromise and regulate his poem’s world totally. The best inner feeling ‘grief’ is a sort of moving sorrow, and resolving reforming pathos to reveal himself and world very differently. His ‘despair’s feeling is not exceptional. It is connected with dark period because of ‘seeing rightly’ and ‘expecting’ is impassible any more disappearing the minimum ‘sorrow’. But his ‘despair’ don’t signify collapse and destrution, everything falling abyss of meaningless. On the contrary, in his ‘despair’ there are spiritual leap and salvation unexpected. Sometimes grotesque and mysterious, but in his ‘despair’ there are hidden the more young and fresh limitless and eternity. His ‘love’s affection comes in here. Directly his ‘love’s feeling happens to endure and reserve his own ‘sorrow’and ‘despairs’. Endeavoring to embrace all his ‘sorrow’and ‘despair’ could appear the language of ‘love’. Maybe in his ‘love’ concept there are embedded with salvation and hope unaccepting because of not preparing yet. Eventually, his last poem ‘the grass’ is born to endeavor ‘rightly seeing’ the thing and objects without a filter device or desire, in a point of view ‘love’ within a serial ‘sorrow’ and ‘despair’.

한국어

김수영 시인에게 시인이란 존재는 단지 자신이 겪거나 추체험한 체험이나 감정을 시를 통해 표 출하는 자가 아니다. 인류의 문제나 고민을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 인론(詩人論) 에 서 있었던 그의 주요 시적 정서의 하나가 ‘설움’이었다는 것은 다소 의외다. 민족이나 국가의 경계 안에서 벌어진 문제들을 범인류적인 휴머니즘 차원에 서 보려했던 시인에게 주관적 정서의 하나인 ‘설움’은 크게 어울려 보이 지 않는다. 솔직히 영웅적이며 과장적으로 보이기까지 한 그의 발언과 달 리, 특히 그의 ‘설음’이 역사나 사회 등 타자에 대한 관심과 성찰보다는 한낱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인식이나 정서를 드러내는 그쳤다는 평가는 여 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설움’의 정서는 단지 그의 개인적 처지나 일의 형편이 원 통하고 슬픔 상황과 맞물려 있는 감정만이 아니다. ‘그의 ‘설음’의 정서 는 그의 세계 전체를 자체로 조율하고 규정하는 기본기분의 일종이다. 가 장 내밀한 느낌이라고 할 수 있는 그의 ‘설음’은 자신과 세계를 근본적으 로 다르게 드러내는 일종의 움직이는 비애이자 결의하고 변혁하는 비애 에 해당한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절망’의 감정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의 ‘절 망’은 ‘바로 보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거나 ‘바라는 것’ 때문에 발생 했던 최소한의 ‘설움’마저 사라져버린 암흑의 시대와 맞물려 있다. 하지만 그의 ‘절망’은 단지 모든 것이 무의미의 심연에 빠지는 몰락과 파괴만 있 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의 ‘절망’ 속엔 전혀 기대하지 않는 영적 도약 이나 구원이 들어 있다. 때로 기괴하고 괴물스럽지만, 더욱 젊고 신선한 의미의 무진장함과 무궁함을 숨기고 있는 것이 근본기분의 하나로서 그의 절망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사랑’의 정서는 여기에서 비롯된다. 단적으로 그의 ‘사랑’의 감정 은 스스로에게 주어진 ‘절망’과 ‘설음’들을 견디고 보존하는 가운데서 온 다. 모든 ‘설음’과 ‘절망’마저 끌어안으려는 노력이 ‘사랑’의 언어를 출현 시킨다. 어쩌면 혹독한 ‘설움’과 ‘절망’ 속에서 미처 예비하지 않았기에 여 태껏 받아들일 수 없었던 구원과 희망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그가 말하는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의 최후작인 「풀」은 근본기분으로서 ‘설음’과 ‘절망’의 연자선상에 있는 ‘사랑’의 관점에서 사물이나 대상을 아무런 여과장치나 욕망 없이 사태 그 자체로 ‘바로 보려’는 노력에서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김수영 시인과 시인의 역할
 2. ‘설음’의 발생과 “꽃”의 의미
 3. ‘절망’의 출현과 구원의 세계
 4. 마음의 자기운동으로서 ‘사랑’과 타자와의 합일
 5. 은폐된 조화와 ‘풀’의 노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동확 Lim, Dong-Hwak. 한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