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물리보안의 정의에 관한 연구 - 위험평가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Physical Security - With Focus on Risk Assessment Theories -

이상희, 이주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is a lack of clear and systematic definition of physical security in Korea, so its basic concept has not been well-established. In an attempt to fill this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of Physical Security’ and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conducted in the area. The ‘Risk Assessment’ theory is applied and based on the three determinants of the magnitude of risks (i.e. asset, threat, and vulnerability), the scope of physical security control and related problems are analyzed. In defining physical security, the scope of ‘Asset’ includes people, information, and property. In regard to ‘Threat’, intentionality is the main consideration. Additionally, structural, electronic, and human factors are taken into account for ‘Vulnerability’. After examining the scope of each determinant, the following definition of physical security is derived. “Physical security is defined as the efforts to control physical vulnerabilities in order to secure people, information, and property from intentional threats such as crimes. The control measures consist of structural components such as buildings or security-related facilities,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security systems, and human components like security officers.”

한국어

국내는 물리보안(physical security)에 대한 지식체계가 미흡하여 그 기본적인 개념이 정립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올바른‘물리보안의 정의’를 도출하여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위험평가(risk assessment)’이론을 적용하였는데, 위험 의 크기를 결정하는 세 가지 요소인‘자산(asset), 위협(threat), 취약성 (vulnerability)’을 통해서 물리보안의 통제범위를 분석 후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물리보안을 정의함에 있어서‘자산’의 범위는‘인명, 정보, 시설’ 을,‘위협’의 범위는‘고의성 여부’를 적용하였으며,‘취약성’에 있어서는 구 조적(structural), 전자적(electronic), 인적(human)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최종적 으로 물리보안의 정의를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물리보안은 범죄 등 고의적 위협(threat)으로부터 인명, 정보, 시설 등 자산 (asset)을 보호하기 위해 물리적 취약성(vulnerability)을 통제하는 활동이다. 그 통 제수단은 건축물이나 보안 관련 설비 등의 구조적(structural) 요소, 보안시스템 등의 전자적(electronic) 요소와 보안요원 등의 인적(human) 요소로 구성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개념적 정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희 Sanghee Lee. SK주식회사C&C 전략사업본부 수석컨설턴트, 미국 산업보안협회 물리보안전문가(PSP)
  • 이주락 Julak Lee.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교수, 미국 산업보안협회 물리보안전문가(PSP)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