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ㆍ장년층에 대한 군복무의 임금효과

원문정보

The Wage Effects of Military Service on Youth and Middle Aged Population

김윤환, 김기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the estimate effects of military service on young and adults’ wage in South Korea. The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to analyze using panel data of YP2007. The military service increases wage by 7.1%. Less educated veterans or earlier people enter military, the higher wage effect people have. Additionally, a wage effect decreases as time goes by. Finally, when a wage gap is decomposed, a difference part which means differences of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accounts for 70% of total wage gap, and a differentiation part which can not be explained by them holds 30%.

한국어

본 연구는 군복무가 노동시장에서 청⋅장년층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청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확률효과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군복무는 임금을 7.1%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용주에 의한 차별과 군복무 과정에서의 축적된 사회적 자본에 의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학력이 낮을수록, 이른 나이에 입대할수록 군복무는 노동시장에서 더 높은 임금으로 나타나 군복무가 가교환경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군복무가 가지는 임금효과는 제대 후 경과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군복무자가 비복무자간의 임금격차를 분해하여 보면, 개인 및 기업적 특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차이적 부분이 총 임금격차의 약 70%를, 특성들에 의해 설명될 수 없는 차별적 부분이 약 30%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량
 Ⅳ. 분석모형 및 분석결과
  1. 표본선택모형
  2. 임금격차 분해모형
  3. 확률효과모형
  4. 학력별 군복무 효과
  5. 입대시기별 군복무 효과
  6. 제대 후 경과기간에 따른 군복무 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환 Yoonhwan Kim.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박사과정
  • 김기승 Giseung Kim.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