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students’perception on extra-curricula program of L University

신혜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in L University and to draw out the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o be connected with the core competences of the school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each department and administering a survey.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the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run by mileage and conducted a survey on current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ypes, participatory programs are the most preferred by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ly operated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was low. The dispatch type programs were favored by the students but have never been operated. It needs to be improve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students. Second, program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our core competences pursued by the university. However, they were biased to specific areas such as empathy competency and creativity competency. Thus, it is needed to open programs in all four areas for students’participation. Third, they answer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university once a week and a department to guide and suppor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ould be need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extra-curricular activity support department to encourage students’participation and manag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to improve core competences by developing student-tailored extra-curricular programs, strengthening students’ competences, and presenting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ope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L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취합하여 학교의 핵심역량과 연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일리지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유형 중 참여형 프로그램의 경우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만큼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참여율은 적었으며, 파견형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호하나 실제 운영이 된 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할 것이다. 둘째, 대학에서 추구하는 4가지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공감과 창의 역량이라는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운영되고 있어 4가지 영역 모두가 고르게 개설되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주 1회 참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고, 비교과 프로그램을 안내해주고 지원해주는 부서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비교과 지원 부서의 설치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교과 교육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성 제시를 통해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혜성 Shin, Hyeseong. 루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