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통신사행로 표기 유형과 문제점 - 1763,4년 사행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Marking types and drawbacks of envoys’ pathway - Based on envoys’ record during 1763~4 -

진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late Chosun dynasty, envoys were dispatched for 12 times, and they have come and gone to given route of envoy activities. Those Chosun envoys have passed Japan’s 60 major regions and 20 states. In envoys’ records, among the places and states where involved with envoys’ pathways, there are many different marks for those places and states even if it is the same place. On top of that, the location of some places were changed, and some states were recorded differently in respective envoys’ records. Moreover, some places in envoys’ records cannot be found from map of Japan. Therefore, we have examined those drawbacks by searching many different envoys’ records from 1763 and 1764 such as Um Cho’s Haesa-Ilgi(海槎日記), Ok Nam’s Ilgwan-Gi(日觀記), Dae Joong Sung’s Ilbon-Rok(日本錄), Jung Gur Won’s Seungsa-Rok(乘槎錄), Daeryung Oh’s Myungsa-Rok(溟槎錄), Hyesoo Min’s Sa-Rok(槎錄), and Tak Byun’s Soosa-Rok(隨槎錄). We organized the name of the envoys’ road and its administrative Firstly, we have examined the marking type of Japan’s places in detail by each places’ another name, Eumcha(音借), and chinese style marking of administrative district’s name. Subsequently, we have searched and divided some problems of the marking styles of Japan’s places by location error of an itinerary, incorrect marking of specific places, and the discordance betwee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places. Consequently, many different kinds of marking type were existed such as abbreviation, 2 words with same pronunciation but different characters, and epithet of another name of the place. Furthermore, those markings contain causes and reasons in many cases. Mostly, Eumcha(音借) of states(州) and plaes are closely related to Japanese pronunciation. However, occasionally,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link between Eumcha(音借) and Japanese pronunciation from several marks. State(州) is the another name of Kook(國); division unit of Japan’s administrative region. Nevertheless, many places did not mark the state(州). Lots of incorrect marks were found mainly due to similar character shape or same pronunciation. Corrections were made on mislocation of several places in Nojung-Ki inside Haesa-Ilgi. Some states were named as one state or divided into 2~3 different states in each individual envoys’ record. Ultimately, this research, name of places and administrative district associated with the pathway of envoy activities, may be helpful in some sort to future generation’s research and translation in relation to the name of the states(州) or places of envoy activities’ pathway.

한국어

조선 후기에 12차례의 통신사행이 이루어졌고, 통신사 일행은 그때마다 정해진 사행로를 왕래하였다. 통신사 일행이 지나간 사행로 가운데 일본의 주요 지역만 보더라도 60여 곳이 넘고, 또한 사행로와 관련된 州가 20여 곳이나 된다. 그런데 사행록을 보면, 사행로 관련 주와 지명 가운데 동일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표기가 존재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지명의 위치가 바뀌어 있는 경우도 있고, 지명과 그 지명이 속해 있는 주가 사행록마다 달리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사행록에 나온 지명을 일본지도[고지도 포함]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1763,4년 통신사행과 관련된 사행록 곧 趙曮의 『海槎日記』와, 南玉의 『日觀記』, 成大中의 『日本錄』, 元重擧의 『乘槎錄』, 吳大齡의 『溟槎錄』, 閔惠洙의 『槎錄』, 卞琢의 『隨槎錄』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행로 관련 지명과 그 지명이 소속된 행정구역명을 알기 쉽게 표로 정리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일본지명의 표기 유형을 지명의 이칭 표기, 지명의 음차 표기, 행정구역명의 중국식 표기 등으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이어 일본지명에 대한 표기 방식의 문제점을 노정기 상의 위치 오류, 특정 지명에 대한 오기, 행정구역과 지명의 불일치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명의 이칭에는 약칭ㆍ병칭ㆍ별칭 등 다양한 표기가 존재하였고, 또한 표기에 유래가 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州名이나 지명의 음차는 대부분 일본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나, 간혹 음차와 일본음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없는 표기도 있었다. 州는 일본의 지방 행정 구분 단위인 國의 이칭인데 州를 생략한 채 표기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오기가 적지 않게 나왔는데, 대부분 자형이 유사하거나 발음이 같아 잘못된 경우가 많았다. 『해사일기』 「노정기」에 일부 지명의 위치가 바뀌어 있음을 알고 바로잡아 두었다. 소속된 州가 사행록마다 하나로 통일되어 있는 지명이 있는가 하면 두세 곳으로 나뉘어 있는 지명도 있었다. 통신사행로 관련 지명과 행정구역명에 대해 고증학적으로 살펴본 본 연구는 통신사행로 관련 주나 지명과 연관된 후대의 연구와 번역에 있어서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일본지명의 표기 유형 고찰
 3. 일본지명 표기 방식의 문제점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영미 Jin, Young-mi. 선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