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국 영화 속에 나타난 원효 -『신라성사원효』와 『원효대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Wonhyo in Korean Film

서재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representations of monk Wonhyo in various cultural texts, including novels and films such as Yi Kwangsu’s novel Great Monk Wonhyo (1942), the film script Wonhyo, the Holy Monk of Shilla in the late 1940s, and the historical film Great Monk Wonhyo (1962). By highlighting the theme of the violation of the Buddhist commandments—which was neglected in Samguk- yusa,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y Iryon—Yi Kwangsu’s historical novel Great Monk Wonhyo identifies the author’s mind with that of a spoiled monk or that of a woman who lost her virginity as Yi was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at that time. The film script Wonhyo, the Holy Monk of Shilla was the first attempt to depict the Wonhyo story in film, and the adaptation seemed to succeed as a popular culture text by excluding both the theme of a monk’s viol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osindo, a Korean traditional religion, although the adaptation drew from many episodes from Yi’s novel. Great Monk Wonhyo, the first completed film about the monk Wonhyo, emphasized suspense and splendid costumes as cinematic spectacles, whereas it removed the famous episode of Wonhyo’s spiritual enlightenment. This film gained box office success by characterizing Wonhyo as a playboy of the age and by putting the love stories about his relationships with many women at the center of narrative. This film could also be considered a great artistic and philosophical film that expressed the life of Wonhyo and his inner conflict as a truth-seeker through the performances of the film’s excellent stars.

한국어

본 논문은 『삼국유사』의 문헌설화에서 비롯된 원효의 이야기가 1942년 이광수의 역사소설 『원효대사』와 1940년대 후반의 영화 시나리오 『신라성사원효』를 거쳐 1962년의 역사극 『원효대사』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원효에 대한 문화적 표상의 변화를 살핀 것이다. 이광수의 역사소설은『삼국유사』에서 비교적 가볍게 다루어진 ‘파계’라는 문제를 전면화함으로써 대일 협력 시기 작가 자신의 내면을 여성의 정조 상실 혹은 불승의 파계와 같은 것으로 동일시하고 있었다. 원효대사에 대한 최초의 영화화 시도인 『신라성사원효』의 경우 소설 『원효대사』에서 대부분의 이야기를 가져오면서도 이광수가 공을 들였던 ‘파계’라는 주제와 신라의 고신도에 대한 서술은 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흥행예술로서의 성격에 부합되게 원작을 각색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효라는 역사인물을 영화로 완성한 『원효대사』의 경우 ‘오도설화’ 부분을 삭제하는 대신 영화적 볼거리로서의 활극적 서스펜스와 인물들의 코스튬을 강조하였다. 이 영화는 원효를 일세의 풍류남으로 설정하고 주변의 여성들과의 러브라인을 스토리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흥행에 성공하면서 구도자로서의 원효의 삶과 내적 고뇌를 뛰어난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사상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수작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원천 소스로서의 이광수의 『원효대사』와 ‘파계’
 3. 최초의 영화화 시도로서의 『신라성사원효』
 4. 예술성을 겸비한 대중역사극으로서의 『원효대사』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재길 Seo, Jae-kil. 국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