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수도의 재구성과 수도권의 탄생 : 1960년대 초반 서울특별시의 변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organization of territory and the birth of Sudogwon (capital region) in the South Korean developmental state, 1960s

김동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a series of state’s spatial projects centered in Seoul in the early 1960s, when Korean developmentalist state came in. While enhancing Seoul’s legal status, that time’s government expanded the scale of city of Seoul and established a regional scale of Seoul Capital Area combining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combined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into Seoul Capital Area). Such project composed a part of territorialization that the state (sovereign) power ought to do and at the same time, a process that spatially express the strategic selection of that time’s political regime. This article aims to offer an explanation on a critical part of developmental state’s spatiality by historically examining major decision-making processes since the Korean War, which has been limitedly address as unofficial history. Also, by analytically identifying political issues that were entangled with the capital region in 1960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state spatial processes can not only mobilize urban political resources, but also create urban developmental discourses.

한국어

이 글은 발전주의 국가가 들어서던 1960년대 초반, 서울을 중심으로 일어난 일련의 국가공간 프로젝트를 다룬다. 쿠데타에 성공한 박정희와 군사정부는 1962년서울특별시장의 지위를 장관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이듬해인 1963년 전격적으로서울의 행정구역을 확장한다. 그리고 당시로는 생소했던 수도권이라는 언어를 동원해 국가공간을 위계적으로 조직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작업은 주권 권력이 응당 행하는 영토화의 일부인 동시에, 당시 정권의 전략적 선택이 드러나는 계기였다. 이 글은 수도권이 만들어진 정책결정과정을 역사적으로 해석해 발전주의 국가의 공간성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전쟁 이후 지속된 수도만들기의 국가 실천, 수도 서울로 몰려드는 인구 관리 전략, 산업화를 위한 영토 기획은 수도 서울과 서울 주변을 재구성한다. 요컨대 발전주의 영토기획에 필요했던 주권 논리와 구획방식이 수도와 수도권을 만들어냈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 주장이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영토화와 수도만들기
  1) 수도, 주권, 영토: 수도는 어떻게 영토를 대변하게 되었나?
  2) 수도권 분석의 프레임: 국가공간과 지역계획
 3. 300만 ‘대서울 계획’과 한강중심 서울 구상: 주권-영토기획과 수도 서울.
  1) 한국전쟁 중에 그려진 ‘대서울’ 계획: 국가, 대수도를 상상하다
  2) 수도의 미덕과 국가적 이상: 1950년대 ‘대서울 계획’의 의의와 한계
 4. 1960년대 수도권의 탄생, 국가처럼 보기
  1) 수도 지위의 재구성, ‘서울특별시 행정에 관한 특별조치법’
  2) 1963년 서울 확장과 수도권: 도시-광역-국토계획의 계열
 5.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완 Gimm, Dong-Wan.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