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뒤르켐의 사회적 연대와 사회화 다시 읽기 : 교육학적 해석과 수용의 문제

원문정보

Rethinking Durkheim's social solidarity and socialization : The problems of educational interpretation and acceptance

김천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rive the meaning of Durkheim's socialization concept in the present neoliberal age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ocialization theory of Durkhe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ocialization theory presented in 『Education and Sociology』, in the light of his other works and discussed how to be corrected or supplemented. From this point of view, I tried to critically analyze how Durkheim's socialization is interpreted and accepted in educational ter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esented the key elements for school socialization in the neoliberal era and suggested the task of school socializ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understanding of negative humanity in Durkheim's socialization debate. School socialization should be based on a moral individualism that emphasizes the dignity of individuals. Second, the meaning of 'society' should be clearly conceptualized in Durkheim's socialization. School socializ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and moral community, not a reproduction of a marketed society. Third, the human subject 's activeness and autonomous will should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olidarity form. School socialization should promote student human rights, which means respect for individualization from collective consciousness for mechanical solidarity. Fourth, socialization for organic solidar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ocialization for forming selfish and utilitarian human being of neoliberal society. School socialization should be positioned as resistance socialization against neoliberal socialization.

한국어

뒤르켐의 사회화론을 담은 주요 저작인 『교육과 사회학』 이외의 다른 저작의 관점에서, 지금까지 일면적으로 해석된 『교육과 사회학』의 사회화론을 수정·보완함으로써 뒤르켐의 사회화론이 지금의 신자유주의 시대에 가지는 의미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 사회학』에서 제시된 사회화론을 ‘분업형태와 사회적 연대의 관계성’에 대한 뒤르켐 자신의 문제의식에 비추어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의 관점에서 뒤르켐의 사회화론이 어떤 교육적 의미로 해석되고 수용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자유주의 시대의 학교사회화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핵심적 요소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학교사회화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뒤르켐의 사회화 논의에서 전제가 되는 부정적 인간관에 대한 이해의 수정이 필요하다. 학교사회화는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도덕적 개인주의에 의거해야 하며, 높은 도덕의 인간으로 거듭나도록 하는 인간화가 되어야 한다. 둘째, 뒤르켐의 사회화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에서‘사회’의 의미가 명료하게 개념화되어야 한다. 학교사회화는 교환관계로 변질된 시장화된 사회를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협동적이고 도덕적인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셋째, 유기적 연대 형태에 부합되게 주체의 능동성, 주체의 자율적 의지가 중시되어야 한다. 학교사회화는 기계적 연대를 위한 집단의식으로부터의 개별화, 개성화, 자율화를 존중하는 의미인 학생인권을 촉진해야 한다. 넷째, 유기적 연대를 위한 사회화는 신자유주의적 사회의 이기적이고 공리주의적 인간을 형성하기 위한 사회화와 구분되어야 한다. 학교사회화가 유기적 연대를 지향한다면, 신자유주의적 사회화에 맞서는 저항적 사회화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뒤르켐의 사회적 연대론: 비판적 고찰
 Ⅲ. 뒤르켐의 사회화론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과 수용
  1. 뒤르켐의 사회화론1)에 대한 재 고찰
  2. 이홍우 교수의 ‘교육개념으로서의 사회화’ 개념의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천기 Cheon Gie Kim.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