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딥러닝 기반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 : ICT 요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edic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Focusing on ICT Factors

이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for predicting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 ICT factors of PISA 2015 that affec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ISA 2015 computer-base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evaluation included 5,581 students in Korea. As a research metho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select meaningful variables. And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prediction model was created by using the deep learn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model generation, we were able to predic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about 95% accuracy for the test data set. Based on this model,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prediction syste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apply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cision making for ICT input and use in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5의 ICT 요인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다. PISA 2015의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 해결력 평가에는 한국에서 5,58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유의미한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딥러닝을 사용하여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모델을 생성하였다. 모델 생성 결과 테스트 데이터 셋에 대해 약 95%의 정확도로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ICT 관련 설문을 통해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에서 ICT 투입 및 사용에 대한 정책 결정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협력적 문제 해결력
  2.2 PISA 협력적 문제 해결력 검사
 3. 연구 방법
  3.1. 연구 자료 및 변수
  3.2. 연구 방법
 4.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시스템 개발
  4.1.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
  4.2. 딥러닝 모델 생성
  4.3.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시스템 개발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호 Youngho Lee. 서울영도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