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Abuse Damage on Aggressiveness in the Convergence Era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김숙향, 김형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resilience’s mediation effects in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abuse damage on aggressiveness in the convergence era. Towards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7th year data (2016) (4th grade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of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abuse damage, aggressiveness, and resilience variables were confirmed using multicollinearity VIF values. Second, adolescent’s abuse experience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aggressiveness. Thir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were shown in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abuse damage on their aggressiveness. For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s’ significance,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resilience consolid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 패널 중에서 7차년도(2016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대상의 일반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다중공선성을 확인 한 후 매개변인 효과 를 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 경로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대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학대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강화의 중요성과 모든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성인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강화가 필요함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자아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이 제공이 사회복지실천에서 필 요성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선행연구 고찰
  1.3 연구모형
 2. 연구방법
  2.1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2.2 주요변수의 측정
  2.3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3.2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3.3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검증
  3.4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숙향 Sug-Hyang Kim. 경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 김형모 Hyung-Mo Kim.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