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ext considers “Cultural formation theory” revealed in East-West Culture and Philosophy, one of the early works by Liang Shu Ming, and its limits. He explained creation process of culture through two concepts, ‘will’ and ‘lif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Western, Chinese, and Indian cultures by ‘The Three Roads to Culture’, and demonstrated the value of Chinese culture through the theory called ‘Cultural Precocity’. But, it is detectable that there is an inherent contradiction in the process like this. What he proposed through ‘The Three Roads to Culture’ was taking positions of ‘culture relativism’ and ‘cultural pluralism’; on the contrary, the theory of ‘Cultural precocity’ was for ‘cultural absolutism’ and ‘culture monism’. The reason why there exists inconsistency in the cultural view of Liang Shu Ming is that he kept trying to argue the value of ‘Confucian Culture’ and to find a way so that it could take a leading position in modern society, which was the purpose of his study on the problems of cultur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worlds. It might be too much to expect him to have an objective stance on studying cultural problems, as he had a strong faith in the ‘Confucian Culture’.
한국어
이 글에서는 양수명의 초기 저작인 동서 문화 및 그 철학에서 드러나는 문화생성이론 및 그 한계를 고찰했다. 양수명은 먼저 ‘의욕’과 ‘생활’이라는 두 개념으로 문화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문화 삼노선’을 통해 서방․중국․인도문화의 특징을 분석했으며, ‘문화 조숙’이론을 통해 중국문화의 가치를 논증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개과정은 내재적 모순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가 제기한 ‘문화 삼노선’은 ‘문화상대주의’, ‘문화다원론’의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조숙’이론은 ‘문화절대주의’, ‘문화일원론’의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이처럼 양수명의 문화관에 논리적 모순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가 동서 문화의 문제를 탐구한 목적이 유가문화의 시대적 가치를 논증하고 나아가 유가문화가 위주가 되는 현대화의 길을 찾는데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처음부터 유가문화에 대한 강한 신념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공정하게 문화의 문제를 탐구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문화의 근거 : 생활과 의욕
1. 생활
2. 의욕
Ⅲ. 문화 삼노선
Ⅳ. 문화조숙
Ⅴ. 문화관의 내재적 모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