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Class Design for Liberal arts computer Convergence class using cognitive apprentice theory
초록
영어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apprenticeship to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computer and presentation skill' among the liberal arts computer courses in H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effects of instructional design on learning of the liberal arts computer courses employing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examine earner’s satisfaction of instructional planning, lectur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which are evaluation elements of the content evaluatio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has improved the satisfaction of the lesson plan, lectur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cognizes that cognitive apprentice theory is effective for general computer cla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pplied to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liberal arts computer related subject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H 대학교의 교양 컴퓨터 교과목 중에 ‘컴퓨터와 프레젠테이션 기법’의 수업 사례를 개발 및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지적 도제를 사용하는 교양 컴퓨터 과정의 학습에 대한 교수 설계의 효과를 보여 주고, 학습 내용 평가 영역의 평가 요소인 수업계획, 강의내용, 교수법의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인지적 도제 이론은 수업계획, 강의 내용,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지적 도제 이론이 교양 컴퓨터 수업에 효과적임을 파악한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향후 교양 컴퓨터 관련 과목의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서론
2. 관련연구
3. 교양 컴퓨터 융합 교과목 설계
3.1 설계의 기본 방향
3.2 수업 목표
3.3 인지적도제 기반 교수·수업 방법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