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vergence effects of husband’s help on self-efficacy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vergence effect of a husband’s help on self-efficacy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 Each husband did mother and baby care until postpartum 6th week after completing three sessions of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1st and 6th week postpartum, and analyzed using SPSS 20.0. Husbands’s practice rate was 80%. Factors affecting to mothers’ self-efficacy were parity, antepartum admission and husband’s job, and to their postpartum depression were mothers’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antepartum depression.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1st and 6th week were 33.3% and 1.7% eac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ing self-efficacy and in decreasing postpartum depression(p<.001),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r=-.62, p=.01). Husbands’ help brought convergence effects on increasing mothers’ self-efficacy and decreasing postpartum depression(p<.001). This results could be used i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in managing mothers' self-efficacy and postpartum depression after repeated studies with wider range of subjects.
한국어
본 연구는 분만 후 산모의 자기효능감과 산후우울에 대한 남편의 도움의 융합적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남편은 3회의 산모와 아기돌봄 교육을 받고 분만 6주까지 이를 실천하였다. 실천정도는 분만 6주에, 자기효능감과 산후우울 은 분만 1주와 6주에 각각 측정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으로 분석하였다. 남편의 실천률은 80%였고, 자기효능감 에의 영향요인은 분만력, 임신중입원 및 남편의 직업이었으며, 산후우울에의 영향요인은 산모의 교육정도, 월수입 및 임신중 우울이었다. 산후우울 유병률은 1주와 6주에 각각 33.3%와 1.7%이었고, 산후자기효능감증가 및 산후우울감소가 유의하였으 며(p<.001), 두 변수 간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62, p=.01). 남편의 도움은 산모의 자기효능감증가와 산후우울감소의 융합적 효과를 가져왔다. 이 결과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반복연구 후 산모의 산후자기효능감과 산후우울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개발 및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연구 방법
2.2 연구결과
3. 논의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