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기술

폐경기 이후 여성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분석 : 불쾌증상이론에 근거하여

원문정보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Women in the Postmenopausal :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한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depressive symptoms of postmenopausal women through the theory unpleasant symptom. This study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orm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Study sample of 1,298 menopausal women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would influence depressive symptoms, physiological factors, situation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depressive symptom were income quartile(β=-.14, p<.001), health status(β=.24, p<.001), and stress(β=-.20,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14. 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to improve their depressive symptoms, the nursing interventions are required for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the income, health status, and stres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불쾌증상이론에 근거하여 폐경기 이후 여성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제 6기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이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폐경을 경험한 1,298명을 대상으로 우울 증상, 생리적 요인, 상황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증상에 영향 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소득수준(β=-.14, p<.001), 건강상태(β=.24, p<.001), 스트레스(β=-.20, p<.001)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 명력은 14.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바탕으로 폐경기 이후 여성의 우울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서는 소득수준, 건강상태, 스트레스를 고려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이론적 기틀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여성건강특성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여성건강 특성에 따른 우울 증상 차이
  3.3 대상자의 증상, 생리적, 상황적 및 심리적 요인 정도
  3.4 대상자의 우울 증상과 관련변수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한은경 Eun-Kyoung Han.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