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후기 여창가곡의 형성배경과 여성가자 활동의 계보론

원문정보

A study of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yeochang gagok, and discourse of genealogy of female gaja(singers) in late Joseon Dynasty

장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gok is a music category transmitted in the forms of Yeochang and Namchang, both of which are considered as specific areas. This kind of categorization is never seen in other traditional music. Settled type of music and structural independence of performance are needed to form a category. Activities and capabilities of individuals and groups would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cultural background which establishes independence of music categories.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yeochang gagok and female gaja observing historic viewpoint and background of yeochang gagok are not female musician oriented. I also considered in culture historical viewpoint unlike precedent studies of gago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goongjoong yeoak and folk, female gaja performed joongdae-yeop and sakdae-yeop in dual mode differentiated by cultural space. More specifically, female gaja sang gagok without any separation from male singers before yeochang gagok separated and customary performance was settled with specific saseol after 18th century. It is highly probable that concept of yeochang gagok and social recognition before late 19th century seeing that female gaja made customary performance of specific lyrics and daeyeopjo. saseol and In conclusion, we could see that female gaja had kept the continuity of music performance as the subject of yeochang gagok performance by confirming roles of female gaja who participated in performance of gagok in Joseon Dynasty period.

한국어

가곡은 현재 여창과 남창으로 나뉘어 전승되고 있으며, 그중 여창가곡은 우리 음악 중 유일한 여창전유의 갈래이다. 19세기 후반의 『가곡원류』와 『삼죽금보』, 『현금오음통론』 등 여러 가집과 금보 중심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창가곡의 형성배경에 주목하였다. 조선후기 음악역사의 변화가 파생․변주의 과정으로 전개된 점에 착안하고, 공연예술의 전환을 통한 여창가곡의 형성배경을 고찰하였다. 17세기 무렵, 『양금신보』 가곡은 민간의 중대엽 연행과 함께, 궁중연향의 창사(삭대엽)로 이루어진 가능성을 탐색하고, 18세기초반까지 『승정원일기』 가곡은 궁중에서 악공의 반주와 여악의 창사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18세기이후 중대엽 성행기에 이미 반주를 수반한 편가의 구성과 혼성․단성 등의 연창방식으로써 여성가자들에 의해 공연예술 지향을 이어갔다. 악곡과 사설의 특정화(여창중대엽), 연행방식, 남녀창 유희성 등 향유층 기호에 부합하는 공연예술적 특성이 관습적으로 진행되어 여창가곡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가곡원류』의 발문에서 말한 ‘正音’의 지향이 점차 공연예술화한 정점에 여창가곡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여창가곡의 형성배경은 곧 공연예술화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여창가곡이 공연예술로 정착하도록 한 연행의 주역은 여성가자였다. 여창가곡의 전승에는 여성가자의 연행주체 활동의 연속성이 필연적 요소라는 점에서, 조선후기 여창가곡의 계보론을 말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가곡연행과 여성가자의 음악활동
 Ⅲ. 여창가곡의 형성배경과 계보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희선 Jang, Hee-Sun.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