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강점기 비파연구 - 이왕직아악부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Bipa Scores and Repertoires in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Yiwangjik A-ak Division and Literature-

박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Bipa (a kind of lute)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a when the Silk Road opened, and a five-string Hyang-Bipa and a four-string Dang-Bipa were performed for Hyangak and Dangak in Korea. However, a Dang-Bipa was mainly performed than a Hyang-Bipa, since the latter’s tuning and performance were more difficult. A Bipa was a basic instrument for the learning of music for nobles, government officials, scholars and ordinary persons alike, and it was a compulsory subject to select a court musician. But it gradually disappeared during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ipa music and technique appeared in the staff score of Yiwangjik A-ak Division in the 1930s and the repertoire of Yiseup Society, organized to preserve and develop A-ak. Bipa music of which staff score was written from the staff score of Yiwangjik A-ak Division was used in all the ceremonial and banquet music in which string instruments were placed and performed. In this regard, a Bipa was an essential component for string music. In the repertoires of Yiseup Society, five bipa players performed a Bipa for solo and ensemble in 34 concerts, out of 135 Yiseup Society concerts. In the repertoires, a Bipa was performed for ceremonies, banquets, pipe and percussion music. As a result, the existence of Yiwangjik A-ak Division’s Bipa scores and repertoires for the present seems to be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ipa through its music, instrumental placement and players in Japanese colonial era.

한국어

비파는 실크로드가 열리면서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로 들어왔고 우리나라에는 향악과 당악에 각각 5현의 향비파와 4현의 당비파가 연주되었다. 그러나 조현과 연주가 어려운 향비파의 연주보다 당비파의 연주가 주를 이루었다. 비파는 영인(令人)은 물론 사대부와 일반 서민들의 음악 학습을 위한 기본 악기였으며 악공(樂工)을 선발 할 때에도 필수 과목이었다. 이렇게 성행한 비파는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점차 소실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930년대 이왕직아악부의 오선악보에서 나타나는 비파악곡과 연주법 및 아악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조직된 이습회 연주회 곡목에 나타나는 비파 연주곡목과 연주자를 살펴보았다.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에 채보된 비파악곡은 현악기가 편성․연주되는 연례악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이로 볼 때 비파는 현악기의 편성에서는 빠지지 않았던 악기임이 증명되는 것이다. 이습회의 연주곡목에서는 5명의 비파 연주자가 총 135회의 이습회 연주 중 34회의 연주회에서 독주와 합주로 무대에 올랐으며 연주곡은 연례악과 취타 등이 연주되었다. 현재 이왕직아악부의 비파악보와 연주곡목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 시대의 비파가 연주되었던 악곡이나 악기편성, 연주자를 통해 비파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판단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의 비파악곡과 연주법
 Ⅲ. 이왕직아악부 이습회의 비파 연주곡목과 연주자
 Ⅳ.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주희 Park, Ju-Hee. 중앙대학교 대학원 음악이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