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통모형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연계수단 통행행태의 영향요인 분석 연구

원문정보

Analyzing Factors to Affect Trip Mode Chaining Behavior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in Seoul

김수재, 추상호, 김지윤, 한재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s shared transportation services has expanded, integrated mobility services that link personal transport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are paid attention.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rip mode chaining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p mode chaining behavior using the 2010 travel diary survey in Seoul, and analyzed factors to affect mode choice of trip chaining through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transportation means were classified into passenger cars, city buses, intercity buses, railways, taxis, and others, and 25 trip mode chaining typ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trip share connected between city bus and railways was the highe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trip mode chaining occurred mainly at commuting an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peak. According to the model results, the mode choice of trip chaining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ndividual attributes (sex and age), household attributes (car ownership and income), trip attributes (trip purpose, trip time and trip length), and arrival area attributes (number of subway lines and bus lines, ratio of commercial area, land use mix and central region).

한국어

최근 공유교통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개인교통수단과 대중교통수단을 연계한 통합모빌리티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연계수단 통행행태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연구에서는 2010년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연계수단 통행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항로짓모형을 통해 연계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통행수단을 승용차, 시내버스, 시외버스, 철도, 택시,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25가지의 연계수단 통행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이중 시내버스와 철도의 연계통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연계수단 통행은 주로 출근통행목적에서 많이 발생하며, 오전/오후 첨두를 형성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다항로짓모형 추정결과, 개인특성의 성별, 연령, 가구특성의 차량보유여부, 가구소득, 통행특성의 통행목적, 통행시간, 통행거리, 지역적특성의 지하철 및 버스 노선수, 상업용도 면적비율, 토지이용 혼합도, 도착지역의 도심권여부 등이 연계수단 선택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1. 연계수단 통행 관련 연구
  2. 다항로짓모형 관련 연구
 Ⅲ. 연계수단 통행 분석
  1. 분석자료 개요
  2. 연계수단 통행유형
  3. 연계수단 통행유형별 특성 분석
 Ⅳ. 연계수단 통행 선택모형 개발
  1. 모형의 구조
  2. 기초통계분석
  3. 모형계수 추정결과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수재 Su jae Kim*.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박사과정
  • 추상호 Sang ho Choo.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교수
  • 김지윤 Ji yoon Kim.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박사과정
  • 한재윤 Jae yoon Han.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