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y and tonal structure of Dokgyeong (Sutra reading) performed by blind men in the Seoul area.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genre(style of melody), called "Dokgyeong-je", which can reveal it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of Seoul Dokgyeong is not suitable to explain it as the existing Tori through analysis of music. Three types of performance are found in the ritual of Dokgyeong conducted in Seoul. The first is simply 'reading'[讀] whereas the second is 'chanting[誦]' Sutra. The rest is 'singing[唱]' Sutra. As the melodic features appear in singing and chanting, I analyzed the interval of the weighted scale, position of the ending tone, melody progress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specific tone in these two types of songs. Two kinds of melodies(Gyeong-tori and Menari-tori) are used in the recitation of the Buddhist style chanting in various blessing rituals. Usually, the song starts with a middle or high note on the scale, and the cadence goes down to the lowest note. It is noteworthy that even when one person chants the same passage, he or she selectively uses Gyeong-tori or Menari-tori. In the passage of the repetition(of leader/chorus call and response), the center tone is shifted upward by 4 degrees as the song progresses, and the overall pitch is also progressing in the higher range toward the latter half. The ending of the phrase is finished at the lowest tone of the scale, but it is shifted upwards by 4 degrees and finished with a high note in the latter part. Often the ending tone is pushed up over a note.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passage may be regarded as Gyeong-tori Susimga-tori, but they often show features that deviate from their stereotypes based on the center tone, weighted scale, and melody that determine the specific Tori. In addition, the use of the modulation melody that appears in the middle of the song is also interpreted as a characteristic melody that appears only in the music of Seoul Dokgyeong. Th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between two kinds of Tori is due to the fact that the music is basically made for the purpose of reading the texts. The lyrics of Dokgyeong are sung in neumatic style in the slow reading part, but it becomes a syllabic style and it is hard to reveal certain expressions that appear on certain notes. The distinction between Gyeong-tori and Susimga-tori is not clear, and mos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are revealed. Furthermore, the unique melody process that comes from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the text can be found. Since Dokgyeong in the Seoul area has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music studies, its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known yet, but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unique melodic operation resulting from Sutra Reading. If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tone and melodic characteristics as something familiar, I think it is desirable to interpret it as a unique musical style that only Seoul Dokgyeong music is using.
한국어
서울지역에서 행해지는 독경음악의 음조직과 선율진행의 특징을 살펴본다. 악곡분석을 통해 서울 독경음악이 기존의 토리론으로는 설명하기에 부적합한 특징이 보이므로, 독경음악만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이른바 ‘독경제’라는 고유한 선율 양식 유형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서울 독경은 절차에 따라 염불조로 낭송하는 형태[誦]와 선후반복창으로 노래하듯이 부르는 형태[唱], 그리고 빠르게 경문을 읽어나가는 형태[讀]의 세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선율적 특징은 송(誦)과 창(唱)에서 나타나므로 이 두 가지 형태의 독경에서 출현음과 음정 관계, 비중음, 종지음, 음진행, 시김새 등을 분석했다. 각종 축원에 나타나는 염불조의 낭송에서는 경토리와 메나리 토리의 두 종류의 선율이 사용된다. 보통 노래는 음계의 중간이나 높은 음에서 시작하고 종지는 최저음으로 내려서 한다. 한 사람이 같은 대목을 불러도 때에 따라 경토리 혹은 메나리토리를 선택적으로 구사하는 점이 주목된다. 선후반복창의 대목에서는 노래가 진행되면서 중심음이 4도 위로 이조되고, 후반부로 갈수록 고음역에서 진행된다. 악구의 종지음은 초반에는 최저음에서 마치지만 4도 위로 이조되고, 후반부에서는 높은 음으로 마무리된다. 종지음을 2도 밀어 올리는 창법도 종종 나타난다. 선후반복창의 노래는 표면적으로 볼 때 경토리나 수심가토리로 짜인 것으로 간주되나, 토리를 결정하는 주요음, 비중음, 시김새, 선율진행 등을 기준으로 볼 때 각각 토리의 전형성에서 벗어난 특성이 종종 보인다. 이밖에 노래의 중간에 나타나는 변조선율의 사용도 독경음악에만 나타나는 특징적 선율로 볼 수 있다. 서울 독경음악의 선후창 부분을 경토리나 수심가토리로 단순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이유는 독경이 기본적으로 경문을 읽어나가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음악이라는 데 기인한다. 독경의 사설은 느리게 읽는 부분에서는 일자수음(一字數音) 방식으로 불러나가지만 빨라지면서 거의 일자일음(一字一音)이 되어 시김새는 드러나기 어렵다. 경토리와 수심가토리의 구분도 분명하지 않으며, 그 둘의 특징이 대부분 섞여 드러난다. 나아가 글을 읽는 특징에서 비롯되는 독특한 선율진행도 찾아볼 수 있다. 서울 독경은 그동안 음악부문에서 주목되지 않아 그 특징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분석 결과 독경이라는 특수한 행위에서 비롯되는 독특한 선율적 운용을 알 수 있다. 그런 음조직과 선율 특징을 경토리나 수심가토리로 규정하기 어렵다면, 서울 독경음악만이 구사하고 있는 독특한 소리제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울 독경의 절차와 가창 방식
Ⅲ. 서울 독경음악의 음조직과 선율
Ⅳ. 선법 및 토리의 적용 문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악보>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