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외상에 대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치유가능성 모색 -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Groping for the Possibility of Healing Trauma ‘Memory’ through Philosophical Counseling - Focusing on Adorno’s Concepts of ‘Eingedenken’ and Dialectical Thinking -

노성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decades, interest in trauma has grown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other events. Some have wondered if survivors should be assisted in ‘forgetting’ their memories of traumatic events or if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face the trauma through those memories and discuss their experiences. Remembering trauma is painful, but it has been considered that having survivors experience that pain through discuss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s can be part of the healing process. This paper begins Arendt’s statement that one should consider human conditions and considers whether trauma survivors can heal only when their traumatic memories have been connected to introspective thinking concerning not only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associations with society. In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and psychotherapy studies, memories of trauma have been essential turning poin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 and context in which memories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when healing trauma using existing therapies or counseling approaches. It compare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o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Chapter 2 discusses the core of the psychiatric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 core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pproaches to post-traumatic growth(PTG). The approaches occupy two major streams in trauma treatment.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importance of memories in the aforementioned treatment methods are examined. Chapter 3 discusse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memories and dialectical thinking; the discussion centers on Adorno’s concepts. Chapter 4 review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work on memories. A basis is established for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f memories in trauma healing. As such, this study considers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based on Adorno’s concepts of ‘Eingedenken’ and dialectical thinking as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existing trauma healing.

한국어

최근 한국사회에서 5.18, 세월호 등으로 인해 트라우마, 즉 외상에 대한 관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외상 생존자들에게외상에 대한 기억을 없애고 ‘망각’하도록 도와야 할까? 아니면 ‘기억’을 통해 외상에 직면하여 그 사건을 말로 표현하고 증언하도록해야 할까? 외상을 기억하는 것, 그 자체가 고통인데 생존자들로하여금 그 고통을 돌아보고 외상을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은 과연생존자들에게 치유의 일환일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시대 인간의 조건을 사유해야 한다는아렌트의 비판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외상 생존자들의 ‘기억’이 단지 개인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한 성찰적 사유로 이어질 때에야 비로소 치유될 수 있다는점에 천착하고자 한다. 기존에 이루어진 정신의학적 치료나 심리치료의 작업에서도 외상에 대한 ‘기억’은 매우 핵심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치료나 상담적 접근에서 외상을치유하기 위해 ‘기억’이 왜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 치료적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뒤, 이를 철학상담과의 대비를 통해고찰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트라우마 치료에서 양대산맥을 차지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대한 정신의학적인 치료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대한 심리치료 및 상담적 접근의 핵심을 정리해보고, 그 안에서 ‘기억’이 지니는 치료적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아도르노 사상을 중심으로 ‘기억’과 변증법적 사유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4장에서는 기존의심리치료나 상담에서의 ‘기억’에 대한 작업이 지니는 제한점을 되짚어본 뒤, PTDS의 ‘장애’와 PTG의 ‘성장’ 사이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토대를 마련해 본다. 이로써 외상을치유하기 위한 기존 치료의 보완책이자 하나의 대안으로서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에 기반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모색한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성장에서 ‘기억’의 중요성
 3. 기억과 변증법적 사유에 대한 철학적 이해
 4. 외상에 대한 ‘회상’의 철학상담적 치유가능성 모색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노성숙 Nho, Soung Suk.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과 철학상담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