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の大学の日本語学習者に対するニーズ分析

원문정보

A Needs Analysis for Japanese Learner in Korean Universities

佐藤友則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의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욕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항목은 학습목적, 학습경험, 학습자의 자기평가, 학급수, 수업방식 등 일본어학습의 여러방면에 걸쳐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부산, 대전, 전주 등 417명의 대학생이다. 그 결과, 학습목적에 관해서는「일본어에 대한 막연한 흥미」와「취직에 이용」의 2가지를 선택한 학습자가 많았다. 그리고 언어의 4기능 중「말하기」기능의 중요성을 가장 강하게 인식하였으며,「통역」능력과「자연스러운 발음·인토네이션」의 필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에 관해서는 학급의 인원수가 적고, 1주일에 15시간 내지 20시간 정도의 수업을 바라는 욕구가, 학습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많이 나타났다. 수업방식은 학습경험의 유무에 따라 크게 나뉘었는데, 학습경험이 없는 학습자는「문답형식」을, 학습경험이 있는 학습자는「토론형식」을 희망했다. 교육기재에 관해서는 비디오 사용이 강력하게 요구되었으며, 수업 중에 비디오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그밖에도 종래의 카세트테이프나 그림카드 교재를 효과적으로 이용한 수업, MD나 컴퓨터를 이용한 수업 등에 관한 검토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학습자의 욕구를 근거로, 실용적이고도 유창한 일본어능력의 습득을 목적으로 한 수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현재의 대학교육기관이 이러한 학습자의 욕구에 부응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에 있으므로 그 개선책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학습자의 욕구에 전부 부응한다는 것은 지금 현재로서는 물리적, 제도적으로 어렵겠지만 본 논문에서 명확하게 밝혀진 학습자의 욕구는 시대적 추세에 따른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대학의 일본어 교육기관에서 양질의 일본어 화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조금씩이나마 이와같은 학습자의 욕구에 부응할만한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가운데 더욱더 많은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되고, 보다 규모있는 양질의 교육분야로 발전해나가리라 믿어의심치 않는다.

목차

1. 硏究の目的
 2. ニーズ分析の方法
 3. 結果
 4. まとめと今後の課題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佐藤友則 Tomonori Sato. 전북대학교 객원교수, 일본어교육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