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을 만들기 방법론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방안 -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개발ㆍ활용 전략 중심 -

초록

한국어

농촌지역개발, 사회적 경제 등 농촌공동체의 활성화와 지역사회의 재생을 위한 각종정책 지원 사업이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법, 정책, 제도의 개선이나 개발 이전에 선결되어야 할 필수과제가 있다. 바로 마을주민 상호 간, 주민·행정·전문가 등 이른바 ‘마을공동체사업 3주체’ 상호 간, 그 리고 마을 및 지역사회 공동체 내부에 ‘신뢰, 협동, 연대, 참여, 규범, 네트워크’ 등의 사 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먼저 충분히 개발되고 확충될 필요와 당위성이 있다. 하지만 우리 농촌지역에는 기본적인 인적·물적 자본은 물론, 농촌공동체와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촉발하거나 견인할 만큼 전통적인, 그리고 시대적인 사회적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 게 사실이다.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공동체 사업에 활용할만한 유용한 사회적 자 본을 새로, 충분히 생산·발굴·개발·육성·축적하는 해법과 대안이 보다 시급한 것이다. 이때 농촌공동체 내부만의 폐쇄적, 배타적, 고립적 ‘결합(Bonding) 사회적 자본’ 보다, 귀농인 등 외부의 청장년 사회적, 문화적 이주민들과 열린 생태계에서 상호호혜적으로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연결(Bridging) 사회적 자본’과 ‘관계(Linking) 사회적 자본’ 의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 그 출발은 역시 ‘인력(인적 사회적 자본)의 육성’에서 시작하는 게 정석이자 정도일 것이다. 이에 농촌공동체 재생 사업에 투자되고 활용될 사회적 자본의 생산·발굴·개발·육성·축적 을 위해서 ‘인적(학교) / 물적(은행) / 조직적(조합) / 플랫폼형(플랫폼) 사회적 자본‘ 의 이른바 ’4대 사회적 자본 발전소 입구 및 출구전략‘을 제안한다. 이때, 이같은 사회적 자본 전략을 완성하기 위해서 '농민 기본소득’ 같은 ‘사회안전망(Social Safety Net)’ 전략이 선행, 또는 최소한 병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1. 인적 사회적 자본 발전소 <학교> : ‘청장년 지역사회 전문가 및 생활기술 전문가’를 발·육 성하는 일종의 대안교육기관으로서 ‘지역사회 생활기술 직업전문학교’ 설립 및 운영 2. 물적 사회적 자본 발전소 <은행> : 농촌공동체사업 추진에 필요한 각종 농촌지역 유휴· 공 유자산을 장기 저리 임대, 저가할인 매각 하는 ‘유휴시설 지역공유 사회적 경제 자산은행’ 설립 및 운영 3. 조직적 사회적 자본 발전소 <조합> : 기초지자체 등 지역단위의 상호호혜적 협동과 연대를 통한 ‘적정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한 ‘지역단위 공동체사업 협동·연대경영체’ 창업 및 경영 4. 플랫폼형 사회적 자본 발전소 <플랫폼> : 농촌형 사회적경제조직 중심, 농촌마을공동체 기반 ‘마을공동체·사 회적경제 융복합 중간지원조직 플랫폼’ 재편·재구축

목차

초록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1. 우리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2. 제주도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제3장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2대 입구전략
  1. ‘인적(人的)사회적 자본 발전소’ 입구전략 : <지역사회 생활기술 직업전문학교> 설립 및 운영
  2. ‘물적(物的) 사회적 자본 발전소’ 입구전략 : ‘유휴시설 지역공유 사회적경제 자산은행’ 설립 및 운영
 제4장.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2대 출구전략
  1. ‘조직적 사회적 자본 발전소’ 출구전략 : ‘지역단위 공동체사업 협동·연대경영체’ 창업 및 경영
  2. 플랫폼형 사회적 자본 발전소 출구 전략 :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융복합 중간지원조직 플랫폼’ 재편·재구축
 제5장.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활용 방안
 참고문헌
 붙임 : 농촌마을공동체 재생을 위한 ‘100가지 사회적 자본 활용 방안’

저자정보

  • 정기석 마을연구소 대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