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高等學校 日本語 學習者의 會話 能力 分析 - ACTEL OPI 평가 기준에 의한 도달 목표 설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ral Proficiency in Japanese Language

吳智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21세기 국제화 시대에 있어, 외국어 능력에 있어서의 회화 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7차 교육 과정 중, 고등학교의 일본어 교육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 伸長을 重視하고 있고. 2001년도부터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제2 외국어가 포함되게 되어, 일본어의 경우,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를 反映한 의사소통 능력을 中心(60%)으로 評價하게 된다. 따라서, 고등학생에게 있어서도 日本語의 必要性, 특히 회화 능력의 重要性이 강조되고 있는 時點이다. 한편, 교육 현장에 있어서, 고등학생의「일본어가 능숙하다」「일본말을 잘한다」라는 것은 具體的으로 어느 정도를 가리키는 것이며, 회화 능력이란 무엇일까, 회화 능력의 氷準을 判定하는 基準은 어디에 둘 것인가 등에 대해, 明確하게 그 答을 제시할 수 있는 普遍的인 기준이 定立되어 있지 못하다. 회화 능력의 정도나 회화 능력 伸長을 위한 명확한 판정이나 助言은, 학습자에게 있어서 학습 의욕을 높이는 데 필요 불가결하며, 이러한 작업은 교육 방법 개선을 위해서도 매우 有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회화 능력을 測定할 수 있는 普遍的 평가 기준 마련이 時急하다고 본다. 普遍的인 평가 기준의 설정으로 학습자는 수준에 맞는 목표 설정이 가능해 지며, 교사와 학습자는 일정기준에 의한 학습 목표의 공통 認識이 가능해 짐으로서, 효율적으로 학습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筆者는 今後, 고등학생을 對象으로 하는 회화 능력에 대한 평가법의 完成을 硏究 目標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本 論文에서는 먼저, 고등학교 일본어 학습자의 회화 능력의 정도를 把握하고, 그에 따른 問題點들을 指摘해 봄으로써, 회화 능력 향상을 위한 方案 마련의 필요성을 認識하고. 고등학생을 對象으로 하는 평가 기준 설정을 提案했다. 具體的으로는 今後, 레벨 別로 細分化한 평가 기준설정을 目的으로,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를 重視한, 일반 고교, 실업 고교, 외국어 고교, 특수 고교別, 도달 목표(최상의 능력)를 設定, 提示하였다. 회화능력 分析 및 도달 목표 設定에 있어서는, ACTFL(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Foreign Languages 全美外國語敎育協會) OPI(Oral Proficiency Interview) 외국어 평가 기준을 中心으로 使用하였다. 회화 능력에 대한 도달 목표 설정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 방법의 改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의 평가 기준
 3. 고등학교 일본어 학습자의 회화능력 분석
 4. 회화 능력에 대한 도달 목표 설정
 5. 맺음말
 參考文獻

저자정보

  • 吳智惠 오지혜. 서경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