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세대통합예배”에 대한 예배 신학적 분석

원문정보

A Liturgical Theological Analysis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문화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Korean Church has faced several difficult problems. Not only has church attendance declined, but worse still is the rapid decline in Sunday schoolers’ and younger generations’ involvement in the church. The potential void in involvement from and the resulting lack of future leaders from the next generation is illustrativ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 Korean Church faces. Central to this issue is a generational gap about worship and culture between younger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s. As a result, Korean Church pastors and theologians have attempted to develop a broad knowledge base on how to transmit the faith from one generation to next generation. About 40 years ago, a renowned Christian education scholar, John Westerhoff, insisted that for the effective transmission of the faith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the experience of worshipping together with three generations is very important. He emphasized that even though people can gain knowledge from teaching, knowledge by participation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process of faith formation. While this opinion is valid, many church ministers and scholars in North America and Korea study intergenerational worship but focus on biblical validit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n turn,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tudies which deal with content, ordo,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This article will research the case of Saedaero Church (Hapsin), Geumdangdongbu Church (Tonghap), and Dangjindongil church (Kosin) which are well evaluated and good models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 will explain how they settled and developed the Sunday school system and intergenerational worship harmoniously. Next, in the liturgical theological perspective, I will analyze the traits of their worship, and how their worship elements and ordo impacts faith formation of their believers. Through this, I will insist that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n the local chur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lements and ordo of worship so that church attendees are active participants. Also, I will show that intergenerational worship has a formative power in the process of faith formation while putting people in the public order of liturgy and requesting the resolution of mind among participants.

한국어

최근 한국 교회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교회가 점진적으로 쇠퇴하는 것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다음 세대를 이끌어나갈 주일학교 학생들과 젊은 세대들의 숫자가 급속하게 줄고 있다는 것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게 한다. 젊은 세대 급감의 배경에는 예배와 문화에 대한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격차도 한 몫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의 목회자들과 신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한 세대의 신앙을 다음 세대로 전수할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모우고 있다. 40년 전 미국의 저명한 교육학자인 John Westerhoff는 한 세대의 신앙을 다음세대로 전수하기 위해서 삼 세대가 함께하는 예배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사람은 가르침에 의해서 지식을 획득할 수 있지만, 참여를 통해서 얻는 지식 또한 사람의 신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북미와 한국의 많은 목회자들과 학자들이 세대통합예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세대통합예배의 성경신학적 타당성과 교육학적인 효과에 관심을 두지만, 예배 신학적 차원에서 예배의 요소, 구조와 순서를 분석한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예배가 잘 정착되어 모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합신 측에 속한 세대로교회, 통합 측의 금당동부교회, 고신 측의 당진동일교회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그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주일학교 시스템과 세대통합예배를 조화롭게 정착시키고 발전시켰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후 예배 신학적 관점에서 그들의 예배 요소, 구조와 순서가 어떤 특징이 있으며 예배 참여자의 신앙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세대통합예배의 정착을 위해서는 회중을 능동적 참여자로 만들기 위한 예배의 요소와 구조, 순서에 대한 세심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신자들은 예배와 의례의 공적인 질서 속에 자신을 위치시킴으로 의미를 획득하고 결단을 요구받게 되므로 전세대가 참여하는 세대통합예배는 신앙 형성에 있어서 형성적 힘을 가지게 됨을 보일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
  1. 사례 연구 : 세대로교회
  2. 사례 연구 : 금당동부교회
  3. 사례 연구 : 당진동일교회
  4. 예배 신학적 분석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화랑 Moon, Hwa-Rang. 고려신학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