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의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 its Historical Significance

노용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we compare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h'ŏnju Sirŭ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and its Annotated Catalog Version one by one, we could learn following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quantity, the former has 314 annotations and the latter has just 149 and also that in terms of their traits, the former has detailed contents and terms for the original text, whereas the latter is no more than the brief summarization of the original text. Thus, in a word, we may say that compared with annotations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ad strong tendency of origin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pattern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divided by three of ‘A':'explanation of vocabulary’, ‘B:term definition’, ‘C:phrase interpretation', the study learned that it had the tendency of B

한국어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주석은 주석목록본 《천주실의》의 주석과 비교해서 한마디로 매우 독창적인 측면이 강한 것이었다. 그리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에 자연히 언해자들 자신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견해가 곁들여지게 됨으로써 매우 창작적인 측면이 내포되게 되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은 주석 자체를 전체적으로 통합해서 정리해놓고 보면, 동일한 편 속에서조차도 동일한 어휘 및 용어에다가 중복되게 거듭 주석을 달았으며, 그래서 그 내용이 혹은 동일하게 혹은 유사하게 혹은 전혀 상이하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할 때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언해자들이 한글로 언해하면서 상세한 주석을 붙이는 데에는 종래의 전통 유학에 익숙함이 반영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양명학에 대한 관심도 반영되었을 것임이 자명하다. 그리고 이런 사상적인 면모가 곧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내용상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대략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는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으로 조선에서 ‘천주학’이 비로소 정립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이 ‘천주학’에 대한 궁구가 《천주실의》 원문 내용 자체에 명시되어 있는 강학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므로, 자연히 《텬쥬실의》 언해도 이 강학에 극력 참여한 학인들에 의해 행해졌고, 따라서 주석도 이들에 의해 분담되어 붙여졌을 것이라는 점이다. 셋째는 이렇듯이 ‘천주학’의 정립이 서양인 사제가 아닌 조선인 신자들에 의해 이루어졌기에,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언해 및 주석도 조선인 신자 주도로 완성됨으로써 그것 자체가 한국천주교회사 속에 ‘자발성’ 구현이 이루어지는 관건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넷째는 천주교 신자, 당시의 표현으로는 소위 ‘천주학쟁이’들의 천주학 교리에 대한 갈구를 해소시켜줌으로써 그 가르침에 따라 평등을 지향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양반·중인·평민·노비를 가릴 것 없이 모든 신분계층에서 ‘천주학’ 즉 천주교가 점차 확산되는 토대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와 주석목록본《천주실의》의 주석 비교
 Ⅲ.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분석
  1. 주석의 편별 유형별 분석
  2. 주석의 전체 통합 유형별 분석
 Ⅳ.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
 Ⅴ.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역사적 의의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노용필 Noh Yongpil. 한국사학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