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소년사법에서 국제기준의 국내이행방안

원문정보

Measurements for Implementing International Legal Standards of Juvenile Justice

이승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several heinous crimes committed by juveniles such as “Busa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assault on a peer student”, requests for the harsh punishment of juvenile delinquents have risen among Koreans. Faced with this current situation, it is needed to examine if Korean juvenile justice policies are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s by throughly reviewing international legal standards, including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d Korean juvenile justice system by examining provisions of convention associated with juvenile justice system, focusing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1989. Currently, alternatives to imprisonment are considered and promoted in Korean juvenile system, which is supported by newly introduced strategies, including (1) specialization of juvenile justice system by establishing ‘juvenile department of the Family Court’ and ‘a prosecutor exclusively appointed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2) support systems for juvenile offenders by court appointed assistant and allowing a juvenile accompanied by trustworthy persons, (3) protection of imprisoned juveniles by addressing prison overcrowding issue and providing juveniles with various vocational training and higher education, and (4) diversion options of conditional suspension of indictment, probation, community services, and order to attend a lecture. For the last 20 year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the juvenile justice system resulted from monitoring government’s fulfillment of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and making efforts. In view of the international legal standards, however, many issues of Korean juvenile justice systems still need to be addressed. First, in order for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o be further specialized, unifying juvenile protection case and juvenile criminal case and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 and long-term duty assignment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a prosecutor/judge exclusively appointed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are needed. Second, rights of juvenile delinquents during the juvenile justice process should be protec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commonly takes 6 months or 1 year for juvenile offenders to get to the court stage from the police and juvenile offenders experience pre-trial detention while their case is processed as juvenile criminal case and juvenile protection case due to the Prosecutor Prior Decision System, the whole process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swift and prompt intervention of juvenile case. Criteria for placement of a pre-trial detention center should be specified and a formal objection process for a party to detention should be guaranteed. Furthermore, regulations for examining evidence, appling to hearsay rule, and criminal indemnity need to be complemented, which enables rights of the accused based o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o be applied to in the juvenile protection system. Third,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Center for juveniles need to be established in every metropolitan city, each center should be operated on a small scale, and an acting juvenile detention center should be closed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classification process. In the Juvenile Act, Juvenile Detention Center and Juvenile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Center should be separated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juvenile offenders under the pre-trial detention. Lastly, although harsh punishment for juvenile delinquents are strongly requested among Koreans, from the point of international legal standards, lowering the age for Criminal Punishment of juveniles and exclusion of a capital punishment and a life sentence of the violent criminal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한국어

부산여중생 사건 등으로 소년사범에 대한 강력처벌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우리나라 소년사법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UN아동권리협약을 비롯한 국제기준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UN아동권리협약(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1989)을 중심으로 소년사법 관련 협약내용을 검토하고, 3-4차 권고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소년사법의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소년사법은 ① 법원소년부 설치, 소년전담 검사제 등을 통한 소년사법의 전문화, ② 국선보조인제도, 신뢰관계인 동석제도 활용 등을 통한 범죄소년에 대한 지원, ③ 과밀수용 해소 노력, 수용자에 대한 진학 및 직업훈련을 통한 자유박탈아동에 대한 보호, ④ 조건부 기소유예, 보호관찰, 사회봉사ㆍ수강명령 등을 활용한 자유박탈의 대안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0여년간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상황개선을 위해 노력한 결과 현재 소년사법은 눈에 띄는 성과를 나타내었으나, 국제기준에 비추어볼 때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소년사법이 보다 전문성을 갖기 위해서는 소년형사사건과 소년보호사건으로 분리되어 있는 소년사법시스템을 일원화해야 하고, 소년전담검사제 및 소년전담판사제가 내실화되어 운영되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 인력의 장기보직 등이 부여되어야 한다. 둘째, 소년사법 절차에서 권리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형사절차와 보호처분 절차를 오가는 동안 미결구금 상태를 경험하고, 소년사건이 경찰에서 법원단계 처분에 이르기까지 6개월에서 1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소년사건 처리절차를 신속화하고 즉각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차가 개선되어야 한다. 미결구금에 해당하는 분류심사원 위탁기준이 구체화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이의제기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형사소송법상 피의자 또는 피고인에게 인정되는 권리가 소년보호절차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증거조사, 전문법칙 적용, 형사보상에 관한 규정이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정확한 분류심사업무 진행을 위해 광역별 소년분류심사원이 설치되어야 하고, 시설이 소규모화되어야 하며, 대행소년원 형태가 폐쇄되어야 한다. 미결구금 상태 위탁소년의 권리보장을 위해 「보호소년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에서 소년원과 소년분류심사원을 분리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소년범에 대한 강력처벌 논의가 뜨겁지만, 형사처벌연령 인하나 강력범죄자에 대한 사형ㆍ무기형 배제 등은 국제기준의 관점을 고려하여 개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설
 Ⅱ. 아동권리협약에서 소년사법 규정에 대한 검토
  1. 아동권리협약 관련조문
  2. UN아동권리협약 제3.4차 권고사항
 Ⅲ. 우리나라의 국제기준 이행상황 점검
  1. 소년전문법원 설립
  2. 범죄소년에 대한 법적 지원
  3. 자유박탈아동에 대한 보호
  4. 자유박탈의 대안방안 모색
 Ⅳ. 국제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소년사법의 발전방향
  1. 소년사법의 전문성 확보
  2. 소년사법에서 절차상 권리보장방안
  3. 정확한 분류심사업무 진행을 위한 개선방안
  4. 소년법 개정 관련 입법방향
 ≪ 참고문헌 ≫
 

저자정보

  • 이승현 Lee, Seung-Hyun.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