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사논문

해인총림 결성의 배경과 현재적 의의

원문정보

Background and present-day significance of the formation of the Haein Monastic Complex(海印 叢林)

조기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ein Monastic Complex is the first monastic complex to be created since the Joint Order.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Haein Monastic Complex, its significance and associated tasks. The first aspect of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is that it inherits the spirit of the Seon Practice at the Daeseung temple by Sŏngch’ŏl(性徹) and Cheongdam(靑潭), the Bongam Temple Society, and the Gaya Monastic Complex, formed as a Model Monastic Complex. The second aspect is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led by monks to restructure the colonial-era Buddhism characterized by the meat-eating and married(食肉帶妻) and to recover the tradition of Seon Practice. The third aspect is to resolve the issue of the hasty monks(急造僧) introduced during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s well as the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institution to educate monks to be disciplinants. The first aspect of significance of the founding of Haein Monastic Complex is that it was formed as the integrated practice hall composed of the Vinaya school, Seon hall, Sutra school and Budda recitation hall where the three supreme principles(三學) of precepts(戒), concentration(定), transcendental wisdom(慧) could be disciplined. However, as the Buddha recitation hall was shut down not long into its operations, its reconstruction remains as a task. The second aspect of the significance is that the education provided in the Haein Monastic Complex combined the Buddhist scripture(內典) and non-Buddhist scripture(外典) for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However, overly focusing on the modernization of the Buddhism and strengthening non-Buddhist scripture may lead to overlooking the consciousness and actions rightfully exercised by monks, and the task of educating the image of the monk(僧侶像) remains. The third aspect of significance is the founding of Haein Monastic Complex was for it to be the head temple to educate the disciples who abode by Buddha’s laws in life; however, abiding by Buddha’s laws in life has the premise of desecularization. This desecularization is a task that transcends through time, and remains a task today and going forward.

한국어

해인총림은 통합종단 이후 최초 총림이다. 본고는 해인총림의 결성 배경과 의의 및 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해인총림의 결성의 첫 번째 배경은 부처님 법대로 살고자 했던성철과 청담의 대승사 수행과 봉암사 결사, 그리고 모범총림으로 결성된 가야총림의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배경은 식육대처(食肉帶妻)의 식민지 불교를청산하고 수행 전통을 회복하고자 전개된 비구들의 불교정화운동이다. 세 번째 배경은 불교정화운동과정에서 유입된 비승비속(非僧非俗)한 급조승(急造僧)으로 인한 문제를해결하고 수행자로서의 자질을 갖춘 승려를 배출할 수 있는 교육기구의 필요이다. 해인총림 결성의 첫 번째 의의는 해인총림이 계·정·혜 삼학을 수행할 수 있는 율원, 선원, 강원과 염불원을 두루 갖춘 종합수행도량으로 출범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염불원은 얼마 운영되지 못하고 폐쇄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염불원의 재건이 과제로 남아있다. 두 번째 의의는 해인총림의 교육이 불교의 현대화를 위하여 내전(內典)과 외전(外典)을 겸수하도록 계획되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불교의 현대화에 지나치게 중점을두어 외전을 강화하게 되면 승려로서 갖추어야 할 의식과 행동이 간과될 수 있기 때문에 승려상(僧侶像)의 교육 강화가 과제로 남는다. 세 번째 의의는 해인총림의 결성이부처님 법을 지키며 살아가는 도제를 양성하기 위한 본산의 마련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처님 법대로 산다’는 것은 탈세속화를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 탈세속화는 범시대적 과제이기에 오늘날은 물론 향후에도 여전히 유효한 과제이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언
 Ⅱ. 해인총림 결성 경과
 Ⅲ. 해인총림 결성 배경
  1. 대승사·가야총림·봉암사의 수행과 결사 정신 계승
  2. 식민지 불교의 청산과 불교정화운동의 정신 수용
  3. 통합종단의 도제양성
 Ⅳ. 해인총림 결성의 현재적 의의 및 과제
  1. 종합수행도량의 맹아와 총림의 균수(均修)
  2. 승가교육의 현대화와 승려상(僧侶像)의 교육
  3. 지계(持戒)의 선언과 승가의 탈세속화
 Ⅳ.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기룡 Cho, Ki-Ryong.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