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소지(嘘字)를 통해 보는 에도(江戸)의 언어문자 유희문화 - 한자(漢字)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lture of language and character of Edo through Usoji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Kanji

금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tried to study the three method elements(Associative concatenation, Assigning animals, Temperament) of Edo culture in character play of Usoji(Non-existent Chinese characters)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characters. First, I found that there is an intermediate stage in process of associative concatenation of Usoji's reading and proverbs and fairy tales of Edo period can be cited as an intermediary of the intermediate stage of Usoji's associative concatenation. Second, the method of assigning animals is developed in Usoji, which is the character representing the animals of different kinds,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assigning allogeneic animals is developed in kanji. In Kanji let's focus on animal characteristics, but Usoji let's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animals of Edo period's Fairytales.  Third, Usoji has the method element that represent the human being's temperament, Which is called Katagi(気質) in Japanese. This, of course, is also related to the epidemic of the temperament in the Edo period. These three method elements of Usoji reflec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do culture well, and it shows a unique idea of Japanese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kanji's.

한국어

본고에서는 근세의 한자문일본근세 한자문자유희인 우소지(嘘字)에 보이는 에도(江戸)문화적인 방법요소 세 가지를 한자(漢字)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상연결과 동물조합, 그리고 가타기(気質)가 그것이다. 첫 번째로, 조합된 글자의 음과 훈을 회의(会意)하여 문자를 읽는 한자의 방식과는 달리, 우소지에서는 연상연결의 중간단계가 개입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매개체들은 에도시대의 동화나 속담인 경우가 많았는데 한 글자에 이러한 중간 매개체가 포함되는 것은 우소지만의 특징이다. 두 번째로, 한자에서는 동종 또는 이종의 동물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징에 주목하여 해당동물들을 나타내는 글자 둘, 혹은 셋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우소지에서는이종(異種)의 동물조합을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발달하였다. 또, 세 가지 이상의 동물또는 동물과 사람의 조합이라는 우소지의 형태는 한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징이라 할수 있다. 세 번째로, 한자에 비해 우소지에서는 인간의 신분이나 기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발달하였으며, 이 경우 한자와는 달리 일정한 읽기방식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것은 에도시대에 유행한 가타기모노(気質物)방식의 영향 때문이다.

일본어

本稿では式亭三馬の嘘字尽くしに見える文字遊びの江戸文化的な方法要素三 つ(連想連結・動物の取り合わせ・気質物)の特徴を漢字との比較を通して検討し てみた。そしてその結果、次の事実が分かった。 まず、漢字の会意文字方式とは違って、嘘字の文字の組み合わせ過程には、中 間段階を経る連想連結が行われる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その中間段階の媒介と なるものとしては江戸時代の諺や童話、そして故事成語などが挙げられる。  次に、同種、あるいは異種の動物二匹以上を表す文字の組み合わせの場合、漢 字では、それらの動物の特徴の共通点に着目した場合が多いが、嘘字では江戸時 代の諺や迷信、童話、じゃんけんぽんなどに見える異種の動物の取り合わせをそ のまま利用した文字の組み合わせが多かった。  最後に、漢字と比べ、嘘字には職業や身分などによる人間の気質の特徴を表す ものが発達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これはもちろん江戸時代の気質物の流行と も管見する。嘘字に見えるこの三つの方法要素は、江戸文化の特徴をよく反映し ており、漢字とはだいぶ異なる日本人独特の発想を見せてくれるといえる。 本稿で試みた漢字と嘘字との比較は、現代中国の創作漢字や日本で生まれた漢 字である国字に対するこれからの東アジア漢字文化の比較考察においても大いに 役立つことが期待されよう。

목차

1. 서론
 2. 연상연결을 이용한 우소지의 방식
 3. 동물조합을 이용한 우소지의 방식
 4. 가타기(氣質)를 이용한 우소지의 경우
 5. 결론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저자정보

  • 금영진 Keum 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