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Canonical Function of Psalms 19 and 119 as a Macro-Torah Frame

원문정보

거시적 토라 프레임으로서의 시편19편과 119편의 정경적 기능

Jeung-Yeoul B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nonical functions of Psalms 19 and 119. Psalms 1, 19, and 119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heir central message—the greatness of the torah—as well as their canonical placement. Psalm 1 is the first psalm of the whole Psalter and Psalms 19 and 119 stand in the middle of the first book and of the last book of the Psalter respectively. The canonical function of Psalm 1 as an introduction of the whole Psalter has already been studied enough by many scholars, but how about the canonical functions of Psalms 19 and 119? If their placement is canonically intentional, what is their canonical function?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analysis of their canonical placements. Through this process, I will argue that their placement is intentional (‘torah pillars,’ which I call the ‘macro-torah frame’) and that the Psalter, along with Psalm 1, should be read through the lens of the torah motif. To that end, I will first look into the wisdom frames that Gerald Wilson has suggested in order to identify the canonical places of Psalms 19 and 119 and then analyze the thematic development of the psalms and their neighboring psalms.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시편19편과119편의 정경적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다. 율법을 강조하는 시편1편, 19편, 119편 가운데서 시편1편의 서론으로서의 정경적기능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미 충분히 입증되었지만, 시편19편과119편의 정경적 기능에 관해서는 아직도 미진한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시편19편과119편의 정경적 배치를 분석하여, 이 두 시편이 시편 전체를 떠받들고 있는‘거시적 토라 프레임’ 기능을 수행한다는 주장을 전개할 것이다. 이 주장은 시편 전체를 율법 모티브 차원에서 읽어야 한다는 시편 학계의 기존 입장을더욱 뒷받침하게 될 것이다. 이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논자는 제랄드 윌슨이 제시한“지혜 프레임”(wisdom frame)을 살펴보고, 시편19편과119편, 그리고 그들의 인접 시편의 장르와 주제 전개(thematic development)를 정경적 차원에서 분석하게 될 것이다.

목차

I. Introduction
 II. Gerald Wilson and the Wisdom Frames
  1. The First and Second Wisdom Frames
  2. Third Wisdom Frame
 III. Psalm 19 and Its Canonical Placement
  1. One Message, not Two Messages
  2. Significance of the Torah in Psalm 19
  3. Canonical Placement of Psalm 19
 IV. Psalm 119 and Its Canonical Placement
  1. Psalm 119 and Its Features
  2. Significance of the Torah in Psalm 119
  3. Views on the Composition of Book V
  4. Alternative View on the Composition of Book V
  5. Canonical Placement of Psalm 119
 V. Conclusion
 BIBLIOGRAPHY
 요약

저자정보

  • Jeung-Yeoul Bang 방정열. Anya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