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日本語學

相互文化と日本語教育 ― 言語文化学習につながる教室活動の実践分析 ―

원문정보

Japanese language teaching in terms of inter-cultural perspective

李尚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argued that language and culture are independent. The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Since Firth&Wager(1997) criticized the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which look emphasis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a new approach has focused on the dynamic community in which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context dependent communicative competence should be utilized. This study is trying to suggest some useful proposals in the field of language teach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s for the past Japanese language teaching in Korea in general, it is pointed out that the teaching has been linguistically over-emphasized,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in verbal/nonverbal behaviour between/Japanese and Korean, It is recommended that the focus of the teaching should be moved to the student-oriented, the open opportunity class-experienced-oriented, the out-of-the textbook-oriented. It has been proposed that this new approach contributes to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Japanese and Korean teaching Japanese more effectively.

한국어

본 연구는 언어능력은 물론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를 극복하고 원활한 교섭이 가능한 언어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교육실천 방안을 제안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Firth&Wager(1997) 등이 학습자 개인의 인지발달만을 중시해 왔던 제2언어습득연구를 비판하면서 이후,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동적 커뮤니티 속에서의 언어사용과 상황에 따른 대응능력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시대의 상황에 맞는 교육적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지만 상호문화를 실제 학습활동으로의 실천과 학습방안에 관해서는 명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언어사회 커뮤니티 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육성을 목표로 교실수업에서의 활동을 통한 교육실천을 분석함으로써 언어문화교육의 방향과 일본어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에 관하여 논한 것이다. 상호문화교육의 실천에 관해서는, 일본어교육을 위한 언어능력을 정의하고 한일어번역을 통한 상호언어의 차이를 이해하는 개별 활동과 상호문화이해를 통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그룹 활동으로 상호문화 커뮤니케이션능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고찰했다. 또한, 언어문화교육의 방향에 관해서는, 언어배경・문화이해에서 수용으로의 프로세스, 언어교육과 한일문화콘텐츠의 연계, 한일문화권 콘텐츠 기획사례를 통한 교육으로의 활용을 고찰했다. 더불어, 한일 문화융합을 목표로 한 문화콘텐츠 교수・학습에 관하여 제안하고, 발전적인 외국어교육의 방향을 고찰했다.

일본어

多文化言語社会となった今日、外国語教育では母語話者のような流暢さ及び文化の同化が暗黙的に強調された既存の教育だけでは充分ではないと指摘されていた。このような限界を乗り越える一環として、1990年代後半から、Firth&Wager(1997)などによって、個々の認知発達のみを重視する第二言語習得研究が批判されることを皮切りに、動的なコミュニティー中での言語使用と状況の対応力などが叫ばれるようになった。このように、社会の変化に応えられる教育の変化として、異文化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教育が活性化されたが、文化を学習活動でどのように活かせるか、学習活動の実践に関する具体的な方案とその中での学びについてはまだ明らかにされていない。 本研究では、多文化言語社会のコミュニティーで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の育成に焦点をあて、相互文化を理解しながら協力し課題解決に向けて、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する力を育んでいくという教育実践を分析することで、言語文化教育の方向と日本語教育の新たな可能性について論じた。相互文化教育の実践に関しては、多文化言語社会に求められる言語能力を定義した上で、韓日語翻訳を通して相互言語文化の違いを理解する個別活動と、それに基づき、相互文化理解による文化コンテンツを開発するグループ活動を行い、相互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養うことを、言語文化教育の方向に関しては、言語背景・文化理解から融合へのプロセス、言語教育と韓日文化コンテンツの連携、文化融合を目指した文化コンテンツの授業モデルの提案を考察した。その上で、相互文化的観点からの外国語教育の方向を提案した。

목차

<要旨>
 Ⅰ. はじめに
 Ⅱ. 第二言語教育の変遷及び研究の理論的背景
 Ⅲ. 本研究の目指すべき言語能力と授業実践
 Ⅳ. 考察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李尚秀 이상수. 釜慶大学校 専任研究教授、日本語学専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