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日本文學

일본근세 고증수필 속 조선관련 기사

원문정보

Articles related to Joseon cultures in Research Essay of the early modern Japan

김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seon was a country which ha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do shogunate. Joseon and Edo had a active cultural exchanges. Japanese literatians of the 17th and 8th centuries interested in Joseon cultures and wrote in what they thought about it. Joseon articles in the research essay of the early modern japan have not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studying Japanese modern literature. The articles related to Joseon in the research essay are Joseon goods(ink stick, tortoiseshell, shoes etc), Joseon books(『Jingbirok(懲毖錄)』『Jinbeob(陣法)』『pyohaelog(漂海錄)』 etc), Joseon characters (such as Hangul notation of “Namiamidabu” engraved on a stone monument), Joseon person(the person who came to buy Japanese books in Nagasak and Park sa-bu, Lee Me-gae etc). Among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ink stick form an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shoes sole are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the study of Joseon culture and custom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re was an intellectual exchange about the Joseon’s money ‘Sangpyeongtongbo(常平通寶)’and the paintings of the tiger etc.

한국어

조선은 일본 근세기의 에도막부가 유일하게 정식 국교를 맺은 나라로 양국은 활발한 교류를 이루었다. 조선의 문물은 일본에 전파되었으며, 이를 접한 근세 문인들은 자신의 수필집에 이에 대한 고증내용을 기술하게 된다. 고증수필집에 기록된 조선관련 문물은 조선의 물건(조선의 먹, 대모갑 비녀, 신발 등), 문자(비석에 ‘나무아미타불’ 한글표기 등), 조선본(『징비록』,『진법』,『표해록』등), 조선인(나가사키에 온 조선인, 이매계, 박사부 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본 문인들 사이에서 조선의 상평통보, 호랑이 그림, 조선통신사 행렬도에 대한 지적 교류가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에서 건너간 먹의 모양, 조선 신발의 밑바닥 모양 등에 관한 조선 측 자료는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근세중후기의 고증수필 속 조선 관련 기사는 그들이 어떠한 조선 문물을 접했는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조선 문물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일본어

朝鮮は江戸幕府と正式な国交を結んだ国で、両国の間には活発な文化交流が行われた。17・8世紀の日本の文人たちは、朝鮮の文物に興味を持ち、それについて考証した内容を随筆に記した。このような考証随筆にみられる朝鮮関連の記事は、日本の近世文学と朝鮮との関わりを研究する上で、あまり注目されてこなかった領域であった。考証随筆に記されている朝鮮に関する記事は、朝鮮の物(朝鮮の墨、朝鮮鼈甲、朝鮮沓など)、朝鮮の文字(石碑に刻まれている「南無阿弥陀仏」のハングル表記など)、朝鮮本(『懲毖錄』『陣法』『漂海錄』)、朝鮮人(長崎に日本の本を買いに来た朝鮮人、朴射夫、李梅溪など)に分類できる。この中には、朝鮮から渡って墨の形態上の特徴、朝鮮沓の裏側の特徴などは、朝鮮の文化・風俗の研究においても非常に重要な資料であると言える。また、日本の文人の間では、朝鮮の常平通寶、虎の絵、朝鮮通信使行列図なのをめぐる知的交流が行われたことも注目すべきである。 このような近世中後期の考証随筆にみられる朝鮮関連記事は、彼らがどのような朝鮮の文物に接したのかだけでなく、彼らの目を通して朝鮮の文物を考える上でも重要な価値を持つ資料であると言える。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조선의 물건
 Ⅲ. 조선의 문자
 Ⅳ. 조선본
 Ⅴ. 조선인
 Ⅵ. 조선관련 지식 교류
 Ⅶ.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김미진 Kim Mi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문학부 강사, 근세문학・문화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