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wo wars and the two returning-home narrative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se 「Choi Cheok Jeon」 and 「Kim Yeong-cheol Jeon」 in order to review the life of the people who had to go through 17th Century’s East Asian Wars. In relation to the Wars, these two pieces were discussed together or individually to determine family separations and war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pieces’ returning-home narrative which helps to determine what the main characters had gone through on the way back home and how romantic and realistic those are in order to finally examine the harshness people had gone through because of the war. 「Choi Cheok Jeon」 shows a perfectly restored family which derives the thought that this fantasy could not happen in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on of Kim Yeong-cheol who had been through so much hardship in 「Kim Yeong-cheol Jeon」 makes it difficult to accept the harsh reality. The first one sketched a romantic scene which people would want to believe that it is real while the second shows a case where the reality sketched is so harsh that people would want to take it as a fake story. The pieces show the reality that individuals and families had to face in a collapsed world. Both of them reached the same objective by using different ways of expression. They both were devoted to show how people stand so helpless against massive violence caused by war and they are questioning how difficult it is to reach the goal of ‘returning home’ which could only be a vain hope.
한국어
이 글은 17세기 두 번의 동아시아 전란을 통과하며 겪은 민인들의 삶을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통해서 재조명한 것이다. 종래 이 두 작품을 동아시아 전란과 관련하여 주로 가족 이산과 체험을 개별적으로 밝히거나 함께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여기서는 두 작품을 ‘귀향의 서사’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주인공의 귀환 과정과 그 현실성 및 낭만성을, 즉 같으면서도 다른 점을 밝혀 결과적으로 가혹한 민인들의 삶이 전란 속에서 여하히 굴절되었는가를 따져 보았다. 우선 「최척전」은 완벽하게 복원된 가족을 통해 역으로 이런 현실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환기시켜 준다. 이에 반해 「김영철전」은 불가항력적인 고난을 뚫고 귀환한 김영철을 통해서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게 한다. 따라서 환상적으로 믿고자 하는 현실을 그려내거나(「최척전」), 현실로 믿어야 하나 받아들일 수 없어 환상으로 밖에 치부할 수 없는(「김영철전」) 사례라 하겠다. 즉 이들 주인공들에게 과부하가 걸린 전란 체험은 억지이거나(「최척전」), 너무 가혹한(「김영철전」)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붕괴된 세계에서 개인과 가족은 오롯이 그들 자체로 당해내야만 했던 현실을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러나 같은 목표를 가지고 구현한 셈이다. 전란으로 인한 거대한 폭력 앞에 개인과 가족은 얼마나 초라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비록 귀환이라는 희망고문을 상정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지난한 것인지 되묻고 있다 하겠다.
일본어
本稿は17世紀の中、2回の東アジア戰亂を経験した民人の生を「崔陟傳」と「金英哲傳」を通じて再照明するものである。元々この二つの作品は東アジア戰亂に関して、主に家族の離散や体験を個別的に明かしたり、一緒に論じられたりしてきた。しかし本稿は二つの作品の「帰郷の叙事」と言う点に集中して主人公の帰還過程やその現実性‧浪漫性に、つまり同じようで異なる部分に注目し、民人の生が戰亂の中でとのように屈折したのかを確認した。先ず「崔陟傳」は完璧に復元できた家族を通じて、逆にこのような現実の不可能さを認識させる。それに対し「金英哲傳」は不可抗力的な苦労を越えて帰郷した金英哲を通じて、現実を受け入れ難くしている。だから二つの作品は信じたい現実を幻想的に描いた(「崔陟傳」)場合と、現実として信じるべきだが受け入れられなくて、幻想としてしか考えられない(「金英哲傳」)場合である。つまりこの主人公たちに過負荷された戰亂の体験は無理な嘘だったり(「崔陟傳」)、ごく残酷な(「金英哲傳」)形で私たちに迫る。崩れた世界で個人や家族がそのままやられるしかなった現実を、この二つの作品は違う方法で、でも同じ目標をもって再現している。戰亂における巨大な暴力の前で、個人や家族がどんなに無力な存在でいるしかなかったのか、そして帰還って言う希望拷問を想定するが、それがどれほど至難なものだったのかを問い返している。
목차
Ⅰ. 전란 소재의 무게감
Ⅱ. 17세기 전후 전란 시기의 풍경
Ⅲ. 두 가지 歸鄕의 서사, 「崔陟傳」과 「金英哲傳」
Ⅳ. 붕괴된 세계와 가족, 그 낭만성과 현실성
参考文献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