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Mahāy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 Its Meaning and Use, and the Confusion thereof

원문정보

Tao J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ading of the word “mahāy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or Qixinlun in its popular Chinese abbreviation), particularly in its synoptic chapter, namely, the Liyi fen (立義 分). To many modern scholars, it refers not to the “Mahāyāna” or “Great Vehicle” Buddhism (as opposed to the “Hīnayāna” or “Lesser Vehicle” Buddhism) as it is popularly understood, but to the so-called “One Mind” (yixin 一心), a mind that exists simultaneously as Suchness and Phenomena and constitutes in that sense a dual-natured Absolute in both its quiescence and dynamicity. It is for this presentation of the “One Mind”, labelled “Mahāyāna” by some, that the treatise claims itself to be the teaching of the “Mahāyāna” Buddhism. This paper proposes to dispute this “Absolute” reading of “mahāyāna”. It argues that the word “mahāyāna” in Qixinlun refers consistently and exclusively to (and in that sense means) the “Mahāyāna” Buddhism or its teaching; that the word is used in the synoptic chapter of the Liyi to respectively characterize and metaphorize the Absolute as “great” (i.e., “mahā”) and “vehicle” (i.e., “yāna”) and, in doing so, to praise and glorify “Mahāyāna” Buddhism as a “great vehicle” and thus a superior teaching; and that the confusion of the meaning and the use of the word results in the modern reading of “mahāyāna” as the Absolute.

한국어

이 논문은 <<대승기신론>>, 특히 대의장인 「입의분(立義分)」에서 ‘대승(mahāyāna)’이라는 단어 해석에 초점을 맞췄다. 일반적으로 많은 현대 학자들은 “대승”이라는 단어는 (소승불교에 대응하는) ‘대승(Mahāyāna)’ 불교라기 보다는 소위 ‘일심’으로 이해해 왔다. 즉, 진여로서 그리고 현상으로서 동시에 존재하는 마음으로, 이런 의미에서 정적인 상태나 동적인 상태 모두에서 이중적인 절대성으로 이해되어왔다. 논이 그것 자체로 ‘대승’불교의 가르침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몇몇 학자들에 의해 ‘대승’이라고 이름붙여진 ‘일심’에 대한 이러한 설명 때문이다. 이 논문은 ‘대승’을 이와 같이 ‘절대적’으로 읽는 것을 반박하고자 한다. <<대승기신론>>에서 ‘대승’이라는 단어는지속적으로 그리고 배타적으로 ‘대승’불교 또는 그것의 가르침을 가리킨다는 것을 논증한다. 그 ‘대승’이라는 단어가 대의장인 「입의분」에서 각각‘큼’과 ‘수레’로서 절대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지고 비유하는데사용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대승’으로서 ‘대승’불교를 실현하고 숭상하는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논증한다. 그리고 ‘대승’이라는 단어의 의미와 사용의 혼동이 ‘대승’을 절대적인 것으로 읽는 현대적 읽기를 초래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I. The Meaning of “Mahāyāna” in Qixinlun
 II. The Use of “Mahāyāna” in Qixinlun
 III. The Confusion of the Meaning and Use of “Mahāyāna” in Modern Qixinlun Scholarship
 IV. Conclusion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Tao Jin 金濤. Illinois Wesleya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