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Eighth Karmapa Mi bskyod rdo rje (1507-1554) on the Relation between Buddha Nature and its Adventitious Stains

원문정보

Klaus-Dieter Mathes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the positions within the post-classical Tibetan tathāgatagarbha debates, the Eighth Karmapa Mi bskyod rdo rje’s pointedly stands out by reason of his categorical denial that the mind-stream of sentient beings contains a buddha nature, not even one in the sense of subtle seeds of buddha qualities. The entire repertoire of one’s psycho-physical aggregates consists of nothing but adventitious stains. What is covered up by them is an all-pervading but ontologically separate buddha. Consequently the ‘profane’ and ‘sacred’ also have different foundations, the ‘all-ground consciousness’ (kun gzhi rnam shes) and ‘all-ground wisdom’ (kun gzhi ye shes), two categories that are typical of the Jonangpas. In the introduction to his Madhyamakāvatāra, Mi bskyod rdo rje also criticizes the popular interpretation of the Mahāmudrā teaching that thoughts appear as the dharmakāya and excludes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are one in essence. In the present paper I will seek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Mi bskyod rdo rje’s position on buddha nature by looking at how he describes it in relation to adventitious stains in comparison to ‘Gos Lo tsā ba gZhon nu dpal (1392-1481) and 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 (1292-1361). The main focus will be his commentaries on the Madhyamakāvatāra (introduction), the Abhisamayālaṃkāra (introduction), the sKu gsum ngo sprod rnam bshad, the Phyag rgya chen po’i sgros ‘bum and Mi bskyod rdo rje’s independent work on gzhan stong, the dBu ma gzhan stong smra ba’i srol legs par phye ba’i sgron me. Of particular interest will be also Mi bskyod rdo rje’s review of ’Gos Lo tsā ba gZhon nu dpal’s Kālacakra commentary rGyud gsum gsang ba, on the basis of which Mi bskyod rdo rje’s denial of a buddha nature in the sense of an individual nature of mind that differs from a Buddha is most forcefully made.

한국어

고전 이후의 티벳의 여래장 논쟁 가운데, 제 8대 까르마빠(Karmapa) 미꾀 도르제의 견해가 가장 돋보이는데, 이것은 그가 ‘유정의 마음의 흐름은, 붓다들이 갖춘 속성의 미세한 씨앗의 의미에서 조차, 여래장을포함하지 않는다’고 단호하게 부인한 것으로부터 기인한다. 한 개인의 심신의 집합체는 단지 객진 번뇌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모든 것에 편재하지만 존재론적으로 별개인 붓다가 이러한 객진번뇌들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俗)과 ‘성’(聖)은 각각 ‘모든 것의 기반이 의식’(kun gzhi rnam shes)와 ‘모든 것의 기반이 되는 지혜’(kun gzhi ye shes)라는 서로 다른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두 범주는 조낭빠 논사들이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입중관론>>주석의 서문에서 미꾀도르제는 또한 ‘생각들이 법신으로서 나타난다’는 마하무드라 가르 침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을 비판하여 그 둘이 본질적으로 하나라는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나는 이 논문에서 여래장에 대한 미꾀도르제의 견해를 이해하는 것을 촉진하고자 노력할 것이고, 이는 그가 객진번뇌와의 관계에서 여래장을 어떻게 묘사했는가를 괴로짜와 쇤누뺄(Gos Lo tsā ba gZhon nu dpal, 1392-1481)과 될뽀빠 세랍걜챈(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 1292-1361)과 비교를 통해 행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미꾀도르제의 저작들인 <<입중관론>>과 <<현관장엄론>>주석서들(서문), <<꾸쑴오뙤남쌔>>, <<챡가첸뾔되붐>> , 그리고 타공(他空)에 관한 독립적인 저작인 <<우마섄똥마외쐴렉빠르체외된메>>에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괴로짜와 쇤누뺄의 깔라짜끄라 주석서인 <<귀쑴쌍와>>에 대한 미꾀도르제의 리뷰에 특별한 관심을 가질 것인데, 이것에 기반하여 미꾀도르제는 붓다와 다른 개별적 마음의 본성이라는 의미에서 여래장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요약
 The Position of Mi bskyod rdo rje in Comparison to That of gZhon nu dpal
 The Position of Mi bskyod rdo rje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Jo nang pas
 Conclusion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Klaus-Dieter Mathes University of Vienn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