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reference ranges of grip strength, lifting and carry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grip strength, lifting and carrying of the mentally retarded adults.
Methods : Grip strength, lifting and carrying of fifty-five adults with MR were evaluated with Transportable Evaluation Systems Technology(TEST) of BTE corp. for eight months. Data were analyzed by SPSS(version 13.0).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ip strength, lifting and carrying were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the female group with MR in the same age group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differences of those among the three age groups(10~19, 20~29, 30~39) in the same gender were not significant. second, left-grip strength and right-grip strength are correlated with lifting(respectively r=0.38, r=0.43) and lifting is correlated with carrying(r=0.38) in the male group with MR. Third, left-grip strength and right-grip strength are correlated with lifting(respectively r=0.49, r=0.57) and lifting is correlated with carrying(r=0.66) in the female group with MR.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need to accurately evaluate physical abi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adults and provide necessary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allocate suitable duties to them.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의 악력, 들어올림, 운반에 대한 기준값을 제시하고, 악력과 들어올림, 운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신지체로 장애 등록되어 있는 남녀 총 55명을 대상으로 8개월간 BTE사의 테스트(Transportable Evaluation Systems Technology: TEST)를 사용하여 악력, 들어올림, 운반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력과 들어올림, 운반은 동일 연령 대에서 정신지체인 남자와 여자의 두 집단 간에는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남자와 여자의 두 집단 내에서 연령별 악력과 들어올림, 운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둘째, 정신지체인 남자 집단 내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은 들어올림과 상관관계가 있었고(각각 r=0.38, r=0.43), 들어올림은 운반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38). 셋째, 정신지체인 여자 집단 내에서 왼손과 오른손 악력은 들어올림과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r=0.49, r=0.57). 들어올림은 운반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66).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지체인의 육체적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적합한 직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직업재활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4.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2. 성별과 연령에 따른 약력의 차이
3. 성별과 연령에 따른 들어올림의 차이
4.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운반의 차이
5. 남자 집단내 상관성 비교
6. 여자 집단내 상관성 비교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