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

원문정보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urvey was to describe assessment tools commonly used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2006 Congress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by means of a survey questionnaire about commonly used assessment tools. The participants were 158 occupational therapists (general hospitals, university-related hospitals, rehabilitation center, etc.).
Results : The length of time for initial evaluation was 20-40 minutes (66.5%) per one patient and reevaluation periods were every 3 months or as functional changes were detected. Among the assessment tool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were: Mnaual Function Test (62.4%) for assessing motor area,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80.3%) and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65.8%) for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s,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79.5%) for daily activity assessment,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97%) and Brun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35.8%) for development assessment, Sensory Profile (61.2%) for sensory integration assessment,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16.7%) for occupational performance assessment.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provisions of more extended education opportunities would promote the use of a greater variety of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에 대한 사용 실태 및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평가도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6년 대한작업치료학술대회에 참석한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제작은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였고, 운동기능 평가 도구, 인지 및 지각평가 도구, 일상생활평가 도구, 발달평가 도구, 감각통합검사, 직업 및 작업수행평가 도구, 이학적 검사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15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근무특성과 관련된 평가도구 사용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기 평가시간으로 20~40분을 할애하는 응답자(66.5%)가 가장 많았고, 평가주기는 기능적인 변화가 있을 때, 성인 환자가 아동보다 사용되는 평가도구 수가 많았고, 대학병원이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가 가장 많았다. 영역별 사용평가도구는 성인의 운동기능 평가에 Manual Function Test(62.4%)를, 인지-지각 평가에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80.3%)을, 일상생활에 FIM(79.5%)을, 작업수행평가에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17.1%)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경우는 전반적 발달검사에서는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97%)를, 운동적합성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35.8%)를, 감각통합평가에 Sensory Profile(61.2%)을, 인지-지각 평가에 Deve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47.8%)를, 일상생활에 Wee FIM(74.6%)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를 영역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작업치료사들의 교육과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과정
  3. 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대상자의 평가 관련 정보
  3. 치료대상 및 근무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
  4. 근무특성과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와의 상관관계
  5. 성인용 운동기능 검사도구의 사용경향
  6. 성인용 인지 및 지각 평가도구 사용경향
  7. 일상생활동작 검사도구 사용빈도
  8. 직업평가 도구
  9. 작업수행 평가도구
  10. 성인의 이학적 검사법 사용빈도
  11. 아동발달 검사 도구
  12. 아동 운동적합성 검사
  13. 감각통합 검사
  14. 아동 인지 - 지각 검사
  15. 아동 일상생활 평가 도구
  16. 아동 이학적 검사법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은영 Yoo, Eun-Young.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신저자
  • 정민예 Jung, Min-Ye.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소연 Park, So-Yon.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최은희 Choi Eun-Hee. 대불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