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발달지연 아동 중 뇌성마비 환아에 대한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유용성

원문정보

Usefulness of Capute and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 in the Cerebral Palsy in Developmental Delayed Infant

임성오, 장봉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cale to screen the Cerebral palsy (CP) out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we evaluate the usefulness of Capute Scale and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2nd (BSID-II). Therefore it would be help to diagnosis of CP in early infant and build up the rehabilitation strategy and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 Subjects were 250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visiting university hospital in Cheonan-city, aged under 48 months. The tests were examined from Aug. 2002 to Dec. 2005. We examined the subject Capute Scale composed of Clinical Linguistic and Auditory Milestone Scale (CLAMS), Cognitive Adaptive Test (CAT), Mixed CAT/CLAMS, and BSID-II composed of Mental Development Index (MDI), Psychomotor Development Index (PDI), Behavior Rating Scale (B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Results : 1. Eighty-six CP infants (34.4%) were screened and 164 global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GDD) (65.6%) within the 250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2. There were 41.7% CP under the 37 weeks compared 26.8% CP above 37 weeks of gestational age.3. When comparing the average of difference between the CP and the GDD, CP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DD in CAT and CAT/CLAMS. CP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DD in the PDI and BRS in the BSID-II. C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4. When the cut off score is under 80 of the indices of Capute Scale,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 distributed CP in the indices of CAT and CAT/CLAMS (respectively, p<0.001, p<0.01). Under the 85, 25, and above 13 in PDI, BRS,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of BSID-II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 distributed CP (respectively, p<0.001, p<0.05, p<0.001).5. The indices of Capute Scale and BSID-II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respectively, p<0.001).6. When the predicted model is made by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the most effective factor is PDI, the next is gestational 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of this model is 25%.
Conclusion : The most effective scale to screening of CP is PDI of BSID-II in th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is considered as useful to screening of CP in th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한국어

목적 : 발달지연 아동들에게 Capute와 Bayley 발달검사를 실시하여 뇌성마비 감별에 이들 지수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이들 검사 중에 뇌성마비를 가장 잘 감별할 수 있는 발달검사 척도를 찾아 뇌성마비 아동을 조기에 진단하고 재활중재와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천안시 소재 모대학교 재활의학과에 발달지연으로 내원한 아동 중 검사시 연령이 48개월까지의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Capute 발달검사인 언어지수(CLAMS), 인지적응검사(CAT), 혼합발달지수(CAT/CLAMS)와 Bayley 발달검사인 정신발달지수(MDI), 운동발달지수(PDI), 행동평가척도(BRS)를 검사하였고,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MDI-PDI)를 계산하였다.
결과 : 1. 발달지연아 총 250명중에서 뇌성마비군이 86명(34.4%)으로 감별되었고 전반적 발달지연군은 164명(65.6%)이었다.2. 재태기간이 37주 미만군에서 뇌성마비아가 41.7%로 37주 이상군의 26.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3. 뇌성마비군과 전반적 발달지연군에서의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평균 점수의 차이는 Capute 발달검사인 인지적응검사지수와 혼합발달지수에서는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 중 운동발달지수와 행동평가척도도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였고(각각, p<0.001, p<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는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01).4. Capute 발달검사의 각 지수별 뇌성마비 감별기준 점수로 80미만으로 하였을 때 인지적응검사지수, 혼합발달지수에서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인 운동발달지수, 행동발달척도,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와의 차이의 감별기준 점수를 각각 85미만, 25미만, 13이상으로 하였을 때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 p<0.05, p<0.001).5.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각 지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6. 뇌성마비 감별에 영향을 주는 예측 모형을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운동발달지수(Odds Ratio; OR=14.559, p<0.001)의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재태기간(OR=3.080, p<0.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OR=2.678, p<0.01)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25.1%였다.
결론 : 발달지연 아동 중 뇌성마비아를 조기에 감별할 때에 Bayley 발달검사의 운동발달지수가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도 고려하는 것이 뇌성마비아 감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통계 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IV. 고찰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성오 Lim, Seong-Or. 단국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교신저자
  • 장봉기 Jang, Bong-Ki.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