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modern people's needs to be healthy and beautiful are increasing, medical skin care industry is growing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job deman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resource in employees who provided medical skin care services and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job specialty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dical esthetician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and were interviewed with the use of a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21.0 and a frequency analysis, a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for job demand, only cooperation ha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resource. Second, when the effect of job resources on medical skin care specialty was inspected, it was discovered that cooperation and equipment appl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pecialty. Third, when the effect of job demand and specialty on job satisfaction was inspected, it was discovered that job ten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workload and specialty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한국어
건강하고 아름답게 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면서 의료미용분야도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의료분야 에 뷰티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미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요 구와 의료미용간의 직무자원 조절적 역할을 검증하고 직무요구, 직무전문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의료미용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 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직무요구는 협력자원만이 직무자원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이 의료 미용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협력자원과 기기활용 자원이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직무요구도와 전문 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요구인 업무긴장도는 부(-), 업무부하량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미용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의료미용사의 인적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직무자원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의료미용 종사자와 직무 전문성
2.2 직무요구
2.2 직무자원
2.3 직무만족
3. 연구내용 및 방법
3.1 연구대상의 선정 및 자료수집
3.2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4 통계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3 구성개념간의 상관관계 분석
4.4 직무요구도가 의료미용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자원 조절적 역할
4.5 직무자원이 의료미용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4.6 직무요구 및 의료미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