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폭력 피해경험 잠재계층, 예측 및 결과변인 탐색 : 성장혼합 모형 검증

원문정보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related Predictors and Outcomes : A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GMM

안태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o examine the effect of predictive variables influencing latent trajectory classes, differenc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according to latent trajectory classes. For this purpose, we used 7,315 data from the first year(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fourth year(second year of middle school)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rowth mixture model,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de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levels and the rate of change. Second, three latent classes of gentle increase type, rapid increase type and gentle decrease type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ir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gender, positive self concept,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latent trajectory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according to latent trajectory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between a rapid increased type and a gentle decreased type, a gentle increased type and a gentle decrease typ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community competence level of the decreased typ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typ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의 효과, 잠재계층에 따른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1차년도(초등학교 5학년)부터 4차년도(중학교 2학년)까지 7,31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 검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점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 및 변화율에 유의미한 개인차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성장모형 검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변화양상에 따라 완만한 증가형, 급격한 증가형, 완만한 감소형의 세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셋째, 다항로지스틱 분석의 결과 성별, 긍정적 자아개념, 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가 잠재계층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잠재계층에 따른 의사소통역량과 공동체역량의 차이 검증 결과 급격한 증가형과 완만한 감소형, 완만한 증가형과 완만한 감소형 간에 의사소통역량과 공동체역량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완만한 감소형의 의사소통역량과 공동체역량 수준이 다른 두 잠재계층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데이터 및 연구대상
  연구변인
  분석방법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발달양상에 따른 단일계층 잠재성장모형
  잠재계층 수 결정
  학교폭력 피해경험 잠재계층의 특징
  잠재계층에 대한 영향 요인
  잠재계층에 따른 결과변인의 차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태용 Ahn, Taeyong.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