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신여성과 일본유학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The Sociocultural Impacts of New Women’s Experiences of Modern Japan as Overseas Students on Colonial Korea

이경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first came to experience Japan’s modernity thanks to the socioculturally vigorous activities of those previously educated in Japan who, while studying there, had then been influenced considerably by Japan’s yearning and envy for modernist movement that started to emerge from Europe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However, given such a situation that Japan was also quite busy adopting in a passive manner a plethora of Western/European culture and values, the modernity infused into colonial Korea turned out to be that of westernized modern Japan, not of the traditional one. Considering that a majority of the Korean New Women (Sin yŏsŏng) in the 1920s experienced studying abroad in Japan, the New Women’s movement in Japan must have made an considerable impact on the equivalent one in colonial Korea. It can thus be assumed that a select group of elite women educated in Japan played a leading role in colonial Korea’s New Women’s movement, just as active participants in Japan’s New Women’s movement consisted mainly of women of the upper and upper-middle classes. And with the passing of time did the New Women’s preferred study-abroad destinations become gradually – though very occasionally – expanded into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some in Europe, away from Japan as the hitherto all-time popular destination for them to study abroad. The “New Women” in this period were defined as those willing to challenge feudalistic, male-dominated traditions and customs of the past, there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imed at promoting women’s rights demanded by the then society and gender equality. And this new definition of women enabled the discourse on a newer concept or image of women to emerge naturally in this period, that is, the image of those who admirably uphold freedom, equality and free love into which it developed from that of traditional hyonmoyangcho (wise mother and good wife) socially demanded to look after her in-laws and continue to stay subservient to her husband. It was therefore a newer social role that became more and more stressed to women in this new period, completely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at socioculturally demanded to them in the previous “old and traditional” period. Which also means that they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individually as an independent entity formed in multifarious day-to-day relationships with other similar entities, away from the idea of them perceived collectively as part of the family-centered “depdendent” traditional relationships they formed with the male as mothers, wives and daughter- in-laws.

한국어

일제 강점기 초기에는 이전 시기에 있었던 근대에 대한 동경과 선망이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일본 유학생들의 활동을 통해서 일본에서 받아들인 근대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 역시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기에 급급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강점기 조선에 이입된 근대는 전통적 일본이 아닌 서구식 근대 일본이었다. 1920년대 조선의 많은 신여성들이 일본 유학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신여성 운동 역시 조선의 신여성 운동에 끼친 영향은 상당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의 신여성 운동에 경제적으로 상류층 여성이 참가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의 신여성 운동도 일본에 유학한 소수의 엘리트 여성그룹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신여성들의 해외유학은 일본유학에 그치지 않고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서구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들 신여성들은 봉건적인 구습을 과감히 타파하고 그 당시 사회가 요구하는 여권신장 운동, 남녀평등을 위한 여성해방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여성으로 정의되었다. 신여성은 시부모에게 잘 봉양하고 남편에게는 절대 복종하는 현모양처의 입장에서 자유평등과 자유연애를 주장하는 여성상, 즉 여권존중과 여성독립 등을 외치는 새로운 여성상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이전의 봉건적인 시대와는 전혀 다르게 사회적인 역할도 강조되었다. 여성의 사회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점은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시작되는 어머니, 아내, 며느리와 같은 가족 공동체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개별적인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서로 독립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을 찾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목차

1. 시작하며
 2. 일제강점기 여성잡지와 신여성 출현
 3. 신여성 담론과 일본유학
 4. 마치며
 참고문헌
 要旨

저자정보

  • 이경규 Lee Gyeong Gyu.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일본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