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요괴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양상과 전략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ategy and Aspect in Culture Contents Utilizing “Yokai”

박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ate of exploitation is increasing with the recent boo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t many motivations to highlight the visual aspect on the surface without sufficient verification of the local gigantic culture. This background has been recognized as a minor existence, and sometimes it has become a kind of popular image of a person who was a bad image,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ghost has changed. Especially,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recreation of the gigantic culture by the local residents is started in various places is a situation that should pay attention also in the meaning of returning to the essence as the local culture of the goby as the folk tradition and also restoring the cultural diversity. Especially, the transition from narrative consumption style to story creation form is also an important point for thinking about the contact with the art culture project. However, they will not be able to say that the future effect that each case will bring is sufficiently verified because the accumulated activity is not long. This movement has become one of the occasions, and each region is planning to exchange information in the future.

한국어

최근의 요괴 붐에 따라 요괴가 활용되는 비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지역 고유의 요괴 문화에 대한 검증이 충분하지 않은 채 표면 상의 시각적 측면만을 부각시키려는 움직임도 적지 않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때 마이너적인 존재로서 인식되었고 때로는 좋지 않은 이미지의 존재였던 요괴가 일종의 대중성을 얻음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기존의 요괴관 구조가 일변하게 되었다. 특히 지역 주민에 의한 요괴 문화의 재창조가 각지에서 시작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민간전승으로서 요괴가 지닌 지역 문화로서의 본질로 회귀해야한다는 의미에서도 또한 문화 다양성을 회복한다는 의미에서도 주목해야 할 상황이다. 특히 이야기 소비 형태에서 이야기 창조 형태로의 전환은 요괴 문화와 예술 프로젝트와의 접점을 생각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포인트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들은 아직 축적된 활동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각각의 사례가 가져올 향후의 효과는 충분히 검증되어 있다고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하나의 계기가 되어 향후 각 지역이 정보 교환을 도모하면서, 오늘날의 지역 사회에 맞는 요괴의 활용법을 구축해갔으면 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목차

1. 들어가며
 2. 요괴의 두 가지 문화적 속성
  2.1 요괴 이미지의 전승과 창조
  2.2 요괴 인식의 다양성과 대중화의 기반
 3. 일본 요괴 문화의 재창조 방식의 검토
  3.1 민속 문화와 대중문화의 융합
  3.2 요괴의 도상화 과정과 방식
  3.3 요괴 문화의 현대적 활용의 역사적 흐름과 배경
 4. 지역 문화로서의 요괴 문화의 의미와 사례
 5. 나가며
 참고문헌
 要旨

저자정보

  • 박희영 Heeyoung Park.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