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인도 Tavanampalle와 Mallayapally 마을의 지석묘와 암채화

원문정보

Dolmens and Rock Art of Tavanampalle and Mallayapally Village in South India

이헌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eam conducted a fieldwork of the dolmens in Tavanampalle and Mallayapally villages in the Chittoor district of South India. 1. The type of dolmens in the survey area are classified as Type I, dolmens with porthole (Tavanampalle No. 1, No. 4), Type II, dolmen with circle stones (Tavanampalle No. 3), Type Ⅲ, Table-type dolmens with two or three supporting stones (Tavanampalle No. 2, No. 7, No. 8), No. 4, and Templetype dolmen with several small supporting stones. 2. The dolmens in the Chittoor area are characterized by a port-hole pattern in West Asia and a northern pattern in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3. Daggers depicted in the rock art dolmens of Mallayapally has a function that protects the spirit because it is depicted in the dagger. The reason why they draw a dagger from a sense of faith to protect the spirit of the dead 4. Sun designs of rock art dolmen at Mallayapally village and supporting stone of the Tavanampalle dolmen built in the reverse swastika form symbolize the sun. The Porthole is located only in the east, and the long axis of the capstone of dolmens is in the east-west direction symbolize the sun religion. 5. Two boats painted on the dolmens in the Mallayapally village depict Sura carrying the stone to be used to make the dolmen in the quarry. 6. The geometric designs in the dolmens, the people and the animals, and the images of the sexually people express the daily life and faith consciousness of the dolmen society in the South India The exact typ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dolmens will be understood when the data of the megalithic remains of the South India are continuously collected. When the megalithic culture of India is identified, it can be concretely compared with the dolmens in East and West Asia. If these comparative studies are done,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prehistoric East-West cultural exchange through dolmen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ituation of migration and trade in the sea will be solved.

한국어

조사단은 남인도의 Chittoor 지역에 있는 Tavanampalle와 Mallayapally 마을의 지석묘를 현 지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조사지역의 지석묘 형식은 제Ⅰ형식, 영혈이 있는 지석묘(Tavanampalle 1호, 4호), 제Ⅱ 형식, 환상열석이 있는 지석묘(Tavanampalle 3호), 제Ⅲ형식, 받침돌이 2개나 3개로 덮개돌을 밭치고 있는 탁자식지석묘(Tavanampalle 2, 7, 8호), 제Ⅳ형식, 동서쪽에 막음돌이 없고 받침 돌을 할석으로 쌓아서 개석을 올려놓은 제단(Temple)식 지석묘로 분류된다. 2. Chittoor 지역의 지석묘는 서아시아의 특징적인 영혈(Port-hole)이 있는 형식과 동남아시 아와 동북아시아에서도 보이는 북방식도 공존하고 있어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3. Mallayapally 마을의 지석묘 개석에 그려진 마제석검 안에는 사람이 그려져 있으므로 마제 석검은 생명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지석묘 개석에 마제석검을 그리거나 암각 해 놓는 이유는 죽은 사람의 영을 보호해 주기 위한 신앙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4. Mallayapally 지석묘 암채화의 태양문과 역만자(逆卍字;Swastika)형으로 세운 Tavanampalle 지석묘의 받침돌은 태양을 상징한다. 영혈(Porthole)은 해가 뜨는 방향인 동쪽에만 놓 여 있고 개석의 장축은 동서 방향으로 나 있는 것은 태양신앙과 관련되어 있다. 5. Mallayapally 마을의 지석묘 개석에 그려진 2척의 배는 지석묘를 만들기 위해 쓰일 석재를 채석장에서 운반하는 수라이다. 6. 지석묘 개석에 표현한 기하문, 사람과 동물, 그리고 성교하는 사람의 모습 등은 남인도 지석묘 사회의 일상생활과 신앙의식 등을 그림문자로 표현해 주고 있다. 인도의 거석문화가 규명되면 구체적으로 동서아시아의 지석묘와 비교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 다. 이러한 비교연구가 이루어지면 지석묘를 통한 선사시대 동서문화 교섭사가 파악될 수 있고 바다를 통한 주민들의 이주와 교역의 양상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자연지리·고고학적 환경과 배경
 Ⅲ. 조사지역의 지석묘 현황
 Ⅳ. 조사지역 지석묘의 형식과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헌재 Lee Hoen jai. 실학박물관 수석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