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고령 장기리암각화의 고고학적 위상

원문정보

The archaeological siginificance of Goryeong Janggi-ri Rock Art

신대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intends to find the archeological and art-historical systemicity of Goryeong Janggi-ri rock art, its archeological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petroglyph or rock art,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based on archeological data. Among Korea’s petroglyph, the Geompa-style rock art reflects unique culture of agricultural rituals in the north Yeongnam region. The Goryeong Janggi-ri rock art shows the region’s original and selfsustaining rituals, different from neighboring countries, while reflecting the people’s inner world in the prehistoric ancient times. The Jang-gi ri site was a place for rituals where farming-based local scholars expressed their sense of awe and wish for the universe and nature. The site has its significance by showing that our ancestors were mindful of common people by praying to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formation and offering of Geompa-style rock art. The Geompa-style petroglyph was created by shamans and officiants in the Bronze age who took the different path from newly rising political rulers of the time and succeeded to shamanistic faiths. Rock art was first appeared when people started making cup and ring mark carvings and worshipped the Sun and the gods of heaven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In the Bronze age, altar stones and dolmen capstones were built for agricultural rituals in a small scale. The cup mark petroglyph appeared in the earliest period and continued to the last period. The ring mark is related with ancestral gods, corn spirits and bird worship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sun god worship. When shamans performed rituals for spirit possession in the early Iron age, they used bronze tools such as bronze mirror which represented the Sun and the sacred power of shaman as a mediator. Geompa-style rock arts during the early Iron age and the early Proto-Three Kingdom period show that the subject of ritual was not limited to the buried person but was expanded to the whole area with rock arts. Ancient people considered the whole area as a sacred site and a place of transmission. Long term plan to form and maintain rock art was carried out during this time. This is the period when the ruler, who had political authority and military command, led wars of conquest and the society gradually expanded in the midst of it. The rock art of male and female genitals in Chilpo-ri shows dramatic external change. The pattern of two female genitals and stone sword looks like the Geompa pattern but represents the union of yin and yang or male and female genitals. This rock art shows how the ancient beliefs moved to human sexual desire and the subject of worship was changed from heavenly gods to human. During the same period, local rock arts in the eastern Jeonnam and the coastal Gyeongnam were merged with the rock art group in the Hyeongsan River basin of the northern Yeongnam area. Religious groups who created petroglyphs of bronze sword and stone sword symbols had exchanged among groups in Sunchoen, Yeosu, Sacheon, Milyang and Changwon. Active interaction had influenced on more expression of male and female sexu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formance of ceremonies towards the union of yin and yang. The genital rock arts during the late Early Iron age and the middle and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had less ring marks and Geompa-style patterns but more wishes for tribal multiplication and agricultural harvest. This is due to the shift of worship from heavenly creatures like the universe, celestial bodies and the Sun to the human- centered wish for multiplication and abundance in the political upheaval.

한국어

고고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고령 장기리암각화 유적의 고고미술사적 계통성을 알아보고, 장기 리암각화가 한국 암각화 변천사에 있어서 어떠한 고고학적 위치에 있으며, 문화유산적 가치를 점유하고 있는 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암각화 중에서도 검파신체문1)암각화는 주로 영남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농경 의례 문화를 형성하였다. 주변국과는 다른 한반도 영남지방 고유의 특징적이면서도, 자생적인 암각화를 매개로 농경의례를 시행하였던 선사~고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장기리암각화 유적은 농업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재지인들의 우주와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그들의 기원을 염원하던 제의 장소이다. 검파신체문 암각화 제작자는 청동기시대 재지 샤만이 며, 새롭게 대두되는 정치적 지배자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청동기시대 이래 전승되어 오던 무속 신앙 주제자이다. 전기의 암각화는 태양천신 숭배를 반영하는 性穴 및 同心圓文岩刻畫(청동기시대 중기~초기 철기시대)時期가 가장 먼저 성행하였다. 청동기시대 제단 입석과 지석묘 상석 등에 농경의례와 관련하여 소규모로 암각이 나타난다. 성혈은 가장 이른시기에 출현하여 가장 늦은 시기까지 지 속되며, 동심원문은 祖上神, 穀靈信仰, 鳥靈信仰과 연결되며 태양신 숭배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후 劍把身體文 岩刻畫時期(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전기)에는 제사의례의 대상을 지석묘 피장자라는 제한된 범주보다, 암각조성지 일대를 공동의 신성한 聖地로 인식하고 전승하려는 경 향성을 보인다. 장기간에 걸친 암각조성과 관리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정치권력자이며 군사 지휘권자인 지배자의 등장으로 정복전쟁이 진행되고, 사회영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시기이다. 칠포리유적에서 남녀근문암각화로 확대되며 획기적으로 외형적 변화를 맞이한다. 쌍여근석 검합체문은 외형적으로는 검파신체문의 형태이지만, 세부적으로는 남녀근 음양합체문이다. 여 기에서 현실적인 인간적 성애 중심신앙으로 이행하며, 기원의 대상이 천신에서 인간으로 변화 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 시기에 또 다른 암각화 조성집단인 전남 동부 및 경남해안 지역집단의 암각화가 영남북부 형산강유역의 암각화 집단과 융합하는 시기이다. 순천, 여수, 사천, 밀양, 창원 등지의 동검문 및 석검문암각화 신앙집단 간의 교류와 영향으로 검파문 신앙의례에 있어서 남녀성징이 적극적 으로 표출되고, 음양합일에 의한 기원의식을 더욱 구체적으로 염원하는 단계로 이행하였던 것 으로 보인다. 男女根文 岩刻畫時期(초기철기 후기~원삼국시대 중후기)에는 동심원문과 검파신체문은 사라 지고, 남녀 성징에 의지하여 종족번식과 농경의 풍요를 기원한다. 이것은 우주와 천체, 하늘의 태양과 같은 무궁한 경외의 대상으로부터 정치적 격변기에, 번식과 풍요를 기원하는 인간중심 의 관념으로 변화한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고령 장기리암각화는 영남지방 검파신체문암각화의 전형적인 형태를 띠며, 농경의례를 가장 활발하게 시행하던 시기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고령 장기리암각화의 계통성과 상징성
 3. 암각화 조성집단의 시기별 신앙의례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대곤 Shin, Dae Gon.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