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고령 장기리 암각화 고찰 : 고고학적 맥락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troglyph of Janggi-ri, Goryeong : Focused on Archaeological Context

강봉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petroglyph located at Janggi-ri Goryeong, in Korea. The motifs of the rock art are composed of polished stone dagger hilt-shape, concentric ring, and cup mark. By analyzing the motifs of the petroglyph,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archaeological context of the rock art in terms of the chronology. The determination of the chronology of Korean rock art, including especially Bangudae, has been hotly debated for a long time in Korea. So far, there is still no general consensus about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whether it was carved in the Neolithic or in the Bronze Age. In this sense, the petroglyph of Janggi-ri site plays a critical role for the study of Korean rock art in terms of not only chronology but also rock art culture in general.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the rock art carvings of concentric rings, stone dagger hilt-shaped motifs, and cup-marks at Janggi-ri, I investigated similar motifs appearing on the surface of Korean dolmen of which date has been determined as the Bronze Age without a question. Since Korean dolmen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most common mortuary practices in the Bronze Age, it is possible to date the petroglyph of Janggi-ri to the same time period. Thus, I argued that rock art at Janggi-ri may have been carved during the Bronze Age. I also examined the rock art motifs that has been reported in Europe, such as British Isles, Sweden, and Norway. It is of interest to note that a number of concentric rings and cup-marks have been identified in those countries.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motifs identified in Europe and Korea respectively. In fact, the motifs are so similar that they are almost identical. Yet, the motifs of European rock art are dated from the end of the Neolithic to the early Bronze Age (3000- 1500 B.C.). In contrast, the similar motifs of Korean rock art have been dated to the the early Three Kingdoms Period(A. D. 300 - 500). On the basis of the date of European rock art, I pointed out that Korean rock art must have been carved much earlier than some Korean rock art researchers have been asserting. The Janggi-ri rock art site was designated as Korean Treasure No. 605 in 1976. I presented the idea that it is time to upgrade the rock art as Korean National Treasure, since it plays a critical role for the study of Korean rock art in general.

한국어

본고에서 고령 장기리 암각화에 보이는 검파형(劍把形) 및 동심원(同心圓), 그리고 성혈(性穴) 등의 모티프(motif)를 검토·분석하여 한국 암각화 연구에서 장기리 암각화의 위치와 그 중요 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아울러 장기리 암각화의 모티프를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유사한 것들은 물론이고 외국의 사례와도 비교·검토하여 조성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기 리 암각화가 우리나라 고고학계 논쟁의 쟁점이 되어 오고 있는 울주 반구대와 천전리, 그리고 검 파형 암각화를 편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 지석묘 상석에 장기리 암각화에 나타나는 검파형과 동심원 모티프, 그리고 성혈이 발견되고 있어 고고학적 맥락상 장기리 암각화를 청동기시대로 편년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 켰다. 동심원과 성혈 등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도 발견된 예가 많고 이들은 대체로 신석기시대 후기에서 청동기시대(3000-1500 B.C.)로 편년되고 있다. 우리나라 지석묘의 일반적인 편년을 고려하면 검파형과 동심원 암각화는 일부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초기철기시대보다 이른 청동기 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고령 장기리 암각화는 국내 다른 암각화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교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국보로 승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고령 장기리 암각화와 고고학적 환경
 3. 고령 장기리 검파형 암각화의 고고학적 맥락
 4. 우리나라 성혈과 동심원 암각화의 이해: 비교문화사적 접근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봉원 Kang, Bong Won. 경주대학교 고고인류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