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덕적 동기의 근원으로서의 도덕적 정체성

원문정보

Moral Identity as Moral Motivation

손경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tains the topics of moral identity which is known to expand the approach of cognitive moral development. Moral identity as the central explanatory concept in moral function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self model. Blasi thoughtfully has integrated moral cognition and moral personality in a model that goes a considerable distance in bridging the judgement-action gap. The moral self model, however, brings to a more full-bodied account of as well as critical analysis of this model. Although the concepts related moral self have been disputing, the self model especially contributes to the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This model suggests not only the need of integrating self and morality in moral functioning but also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psychological process.

한국어

최근 블라시의 도덕적 자아모델은 도덕 심리학 및 교육의 논의에서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 도덕적 자아 모델은 도덕 판단의 인지적 성격을 보존하면서도 도덕 판단과 행위간의 불일치를 극복하게 하는 도덕적 동기의 근원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을 계승 발전시킨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도덕과 자아가 통합되어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될 때 도덕 판단과 도덕행위의 일관성이 확보된다는 블라시의 연구결과는 도덕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시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렇듯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관심과 기대도 있지만 ‘객관적 성격’을 지닌 도덕 지식이나 이해와 ‘특수한 개인’의 자아와의 통합을 강조하는 이론이 과연 도덕의 객관성을 온전히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들이 제기되고 있다. 누찌와 니산은 각기 도덕적 자아이론에 내재한 객관과 주관의 긴장을 주목하며, 도덕적 자아이론이 과연 콜버그 이론을 계승 발전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블라시는 프랑크푸르트의 이론에 기초하여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에 대한 이론적 가능성을 정당화하며 제기된 비판들에 대응하였다. 프랑크푸르트의 이론에 기초하여 도덕적 정체성 형성을 설명하는 일은 콜버그와 마찬가지로 도덕적 인지의 중요성을 지지하지만 콜버그의 이론과는 달리 도덕적 인지를 넘어서 도덕적 정체성이 도덕적 동기의 근원으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블라시의 시도가 제한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고 평가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프랑크푸르트 이론에 주목하여 그간 제안된 도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법론의 이해를 명료화하고, 새롭게 방법론을 추가하였다. 도덕적 지식이나 이해가 인성에 통합될 때 비로소 도덕적 행위로 이어질 상당한 동기를 지닐 수 있기 때문에, 반성의 심리과정에 그치지 않고 반성의 결과를 통합하는 동일시의 심리과정이 요구되며, 이러한 도덕적 자아의 활동이 곧 자율적 과정이며, 이러한 자율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도덕적 감정이야말로 도덕적 의미를 지닌다는 점이 최근에 이루어진 도덕적 정체성의 논쟁에서 우리가 새롭게 얻을 수 있는 도덕 교육적 함의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과 그 한계
  1. 도덕발달이론의 메타 윤리적 전제
  2. 도덕적 동기화의 한계
 III. 블라시의 도덕적 자아이론
 IV. 도덕적 자아이론에 대한 비판과 대응
  1. 객관과 주관의 긴장에 대한 두 가지 비판
  2. 이론적 정당화와 대응
 V. 도덕적 자아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경원 Son, Kyung-Won.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