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propose a method to build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at moral subject class in Korean academic high school. Although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is an alternative for various problems in moral education focused on moral principles and non-reflective education system, the current moral subject class in academic high school has several limitations in introducing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The present author understands that the most serious limitation is competitive atmosphere resulting from education focus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the success of the class basically depends on the organization of inquiry community. Thus without solving the problem related to competitive atmosphere, we cannot expect adequate inquiry activities. In solving the problem, an approach through play can be an alterative. Factors of play such as interest, spontaneity and community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In addition, rules and challengingness inherent in play may be associated with the goals of inquiry of the community. Plays suitable for this ne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to be small so that they do not interrupt the overall flow of class, and to be developed from simple ones to complicated ones that develop abilities in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designing plays that meet these requirements and a model to be utilized according to the time of class.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도덕과 수업에서 윤리적 탐구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리적 탐구공동체가 덕목 중심의 도덕과 교육과 비반성적인 교육제도가 갖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대안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문계 고등학교의 도덕과 수업에 들여오는 데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필자는 이런 한계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입시 위주의 교육이 낳은 경쟁적 분위기라고 본다. 이 수업의 특성상 기본적인 탐구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수업의 승패를 좌우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탐구를 할 수 없다고 본다 이런 문제의 해결은 놀이를 통해서 접근함으로써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놀이의 특성 중에서 재미와 자발성, 공동체성과 같은 요소는 윤리적 탐구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유의미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놀이 속에 포함된 규칙이나 도전적 속성들은 윤리적 탐구공동체 자체의 탐구 목표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적합한 놀이의 성격은 윤리적 탐구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것, 수업의 전체 흐름을 해치지 않는 작은 놀이 위주일 것, 놀이 속에 윤리적 탐구공동체의 고차적 사고 기술이 통합적으로 포함될 것, 단순한 놀이에서 복잡한 추론이나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놀이로 발전시켜 나갈 것 등이다. 그리고 그러한 성격에 맞는 놀이를 만드는 방법과 수업의 시기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목차
I. 글을 시작하며
1. 윤리적 탐구공동체의 특징과 현장 적용의 난점
2. 놀이와 윤리적 탐구공동체의 관계
3. 윤리적 탐구공동체 놀이의 성격
II. 윤리적 탐구공동체와 놀이
III. 놀이를 통한 윤리적 탐구공동체 형성 프로그램
1. 윤리적 탐구공동체 놀이의 사례
2. 윤리적 탐구공동체 수업 절차에 따른 놀이 적용 모형
IV.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