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규모에 따른 취업진로활성화를 위한 전략적인 방향제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posal for Strategic Direction for Activation of Employment Career according to the Company Scale

최두식, 이상윤, 김양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ldwide unemployment rate caused by constant economic recession and the slow investment of enterprises due to the uncertainty of global economy gradually exacerbate the employment situation in the domestic labor market as well. Like this, youth unemployment problem star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and the severity of problem shows no sign of settlement despite the effort-making measures set up by the government. Due to the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job applicants have a preference for stable job positions, resulting in labor shortag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not finding appropriate manpower. Likewise, job applicants also suffer from the difficulty of finding proper jobs and this causes the mismatch phenomenon in general. To cope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raw alternatives for raising labor absorptive capacity of not only large companies but also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particular, it is judged that the companies should figure out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ing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preference of college graduates, through which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the conditions to attract employment expansion. This study views that it is important to put priority on systemat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deduction of improvement plan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in-company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it is estimated that it is required to confirm what the needs and satisfaction factors of employees are in this proces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s to inquire about the influence of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present strategic proposal plans aiming at improving job satisfaction using IPA. Consequently,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to verify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rise or reductio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mpany scale and establishing the empirical model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 as to working environment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the companie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re is definitely difference of factors of job satisfaction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mpany scale.

한국어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국내 노동시장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의 투자가 부진하면서 국내 고용상황은 점차 악화되어 가고 있다. 이처럼 청년 실업문제는 사회문제로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정부의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쉽사리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경기침체가 길어짐에 따라 취업준비생들도 안정적인 일자리를 선호하게 되면서 중소기업에서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적합한 인력을 찾지 못해 구인난을 겪고 있으며, 일자리를 찾는 취업준비생들도 적합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인력 미스매치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의 고용흡수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대안들이 도출되어야 하며, 특히, 대학졸업자들이 추구하고 있는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기업에서는 직무환경을 통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파악을 통하여 대학졸업자들이 추구하고 있는 성향을 파악하여 고용확대 유인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직무환경이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진단, 개선방안 도출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며 이 과정에서 근로자의 욕구와 만족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IPA를 활용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제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규모에 따른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기업의 고용에 미치는 직무환경에 대한 기존 문헌들의 고찰을 통하여 실증모형을 수립하고 IPA 분석을 통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고용증가 혹은 감소와 관계되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진행한 결과, 기업 규모에 따라 직무환경에서 직무만족도를 느끼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직무환경에 관한 선행연구
  2.2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2.3 IPA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3.1 연구방법
  3.2 연구과제 및 절차
 Ⅳ. 실증분석 결과
  4.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일반적인 특성
  4.2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결과
  4.3 가설검정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최두식 Doo-sik Choi.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이상윤 Sang-yun Yi. 경희대학교 의료경영학과 박사과정
  • 김양균 Yang-kyun Kim.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