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염동기, 문상규, 박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the employment status and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the data of University A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in employment outcomes. We analyze the employment status of 9,631 university graduates of each year in a three-year-period(2014∼2016). The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mployed and unemployed, and selected 15 determinants are classified into socioeconomic factors, school life facto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use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ethod for the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mployment, we find that the employment rates by major are the highest in engineering department, social department, humanities department, education department, arts and physical department, natural department in order. Employment rates are high if a graduate belongs to categories of Male, New entrance, Within-entrance, School record scholarship recipients, Exchange student, Economics & business double major, Not exceeded registration, Internship,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 Employment rate differentials are not significant if a graduate belongs to categories of Recruitment classification, High school area, High school classification, Total double major. Second,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we fi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mployment outcomes by major. Gender(male students), admission classification(new entrance stud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utcomes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factors. In terms of school life factors, the higher the graduation average score,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we find that the case of students who went to exchange students and the case of economics and business double majo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utcomes, but the registration of the excess semester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outcomes. The experiences of internship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job support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utcomes. Third, influences of Internship status,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 Major, Economic & business double major, Gender and Admission classification in employment deci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that can be controlled by individual efforts, such as Internship status,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whether they are engaged in Economic & business double major, are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han those that are difficult to be improved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Major, Gender, and Admission classifi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determinants of employment which have been merely understood with intuitional grounds, by providing empirical analysis on official data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University A. Based on its results, we suggest that various and useful student-tailored employment guidelines be set up at the university level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outcomes in employment of its graduate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의 행정시스템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학졸업자들의 취업현황과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취업의 질적·양적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도권 소재 종합사립대학인 A 대학교의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대학졸업자 9,631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취업현황을 분석하고,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졸업자들의 취업성과를 취업과 미취업으로 구분하고,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사회경제적 요인과 학교생활요인, 그리고 취업준비요인으로 분류한 후 총 15개의 변수를 선정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취업현황 분석 결과 전공계열 취업자비율은 공학계열, 사회계열, 인문계열, 교육계열, 예체능계열, 자연계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 신입학자, 정원 내 학생, 교내성적장학금 수혜자, 교환학생 경험자, 경상계열 복수전공자, 의무학기만을 등록한 경우, 인턴십 경험자,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취업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집유형, 출신고교지역, 출신고교유형, 복수전공여부의 경우 취업자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하여 전공계열별로 취업성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성별(남성)과 입학구분(신입학)은 취업성과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생활요인과 관련하여 졸업평점평균은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환학생을 다녀온 경우, 경상계열을 복수전공한 경우가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무학기를 등록한 경우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요인 중 인턴십 경험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 경험은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의 영향력과 중요도 분석결과 인턴십 여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여부, 전공계열, 경상계열 복수전공 여부, 성별, 입학구분 등의 순으로 영향력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십 여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여부, 경상계열 복수전공 여부 등 개인의 노력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수들이 전공계열, 성별, 입학구분 등 개인의 노력으로 변경이 어려운 변수에 비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중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A 대학교 행정시스템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직관적으로만 파악하였던 변수들의 영향력과 중요도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인의 노력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수들의 영향력과 중요도가 취업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 차원에서 다양하고 유용한 학생 맞춤형 취업정책과 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언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이론적 논의
  2.2 취업영향요인 분류 및 가설 설정
 Ⅲ. 실증분석
  3.1 분석대상 및 변수선정
  3.2 분석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4.1 취업현황 분석결과
  4.2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염동기 Dong-ki Yum.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수료
  • 문상규 Sang-kyu Moon.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
  • 박성수 Sung-su Park. 성균관대학교 교육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