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글로벌 금융위기가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이수아, 강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lobal Financial Crisis(GFC)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by using the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Pooling OLS analysis by pooling of 2007 and 2010 panel data, we found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turnover intention after GFC compared to before GFC. It is interpreted that the shock of GFC increased the anxiety about the current workplace and made to take more account of job separation. Secondly, male, householders, and as older age, are in a decline in turnover intention than if not so. This seems to be more cautious about leaving from the current workplace, as they are likely to be in the position that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family livelihoods. Thirdly, the regular employment, the larger enterprise, the managerial, professional and technical workers have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an if not so. Fourth,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Nex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men's turnover intention were lower than women’s in both of before and after periods, but the disparity of gender effect has been decreasing since GF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firm size on turnover intention before GFC, but after GFC,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not recognized. This study has some research limitations as follows. Due to restrictions of panel survey questions, we did not fully consider various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that has been pointed out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We did not try the structural analysis including various paths that ma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even though the exogenous incidents such as financial crisis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multiple paths. There may be the problem of the measurement tool that the questions about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may not be able to properly measure the normal degree of those variable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study by another data, additional survey, and other research method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2007년과 2010년 2개년도 패널자료를 합동하여(pooling) OLS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금융위기 이후에 이직의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금융위기의 충격이 현재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이직을 더 많이 고려하게 만들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남성, 가구주일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고 있다. 이는 가족의 생계를 주로 책임지는 입장일수록 현 직장으로부터 이직에 대하여 더 신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규직일 경우, 종사하는 사업체규모가 클수록, 관리전문직과 기술직의 이직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분석에서는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모두 남성의 이직의도가 여성보다 낮으나 금융위기 이후 영향의 격차가 감소하고 있다.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학력수준, 사업장 규모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만족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패널조사 문항의 한계로 인하여 선행연구나 이론에서 지적하고 있는 이직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 금융위기 등 외생적 사건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포함한 구조분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점, 이직의도나 직무만족도 등에 대한 문항이 통상적인 이직의도나 직무만족도를 온전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측정도구의 문제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별도의 자료나 추가적인 조사, 그리고 다른 방법론을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과제로 남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글로벌 금융위기와 이직의도
  2.2. 이직의도의 개념과 이직과의 관계
  2.3.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실증연구
  3.1. 연구모형과 가설
  3.2. 분석자료와 표본
  3.3. 분석방법과 변수
 Ⅳ. 실증분석 결과
  4.1. 기술통계
  4.2. 글로벌 금융위기가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수아 Soo-ah Lee.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박사과정 수료
  • 강순희 Soon-hie Kang.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