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9세기 유교의 통속화와 「저승전」의 이념성 — 조선후기 勸善書의 유행과 관련하여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read of Taoist Gwonseonseo in the 19th Century and the Ideological Nature of Jeoseungjeon

19세기 유교의 통속화와 「저승전」의 이념성 — 조선후기 권선서의 유행과 관련하여 —

김정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ognizing that the ideological nature of Taoist Gwonseonseo whose publication was concentr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as connected to that of Jeoseungjeon, a Hangul manuscript novel in the 19th centur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eriodic significance of Taoist Gwonseonseo in the 19th century and check the ideological nature of Jeoseungjeon. Taoist Gwonseonseo puts an emphasis on Confucian ethics including loyalty and filial piety in a didactic aspect and shows that the practice of Confucian ethics brings good fortune, which was prominent in many private Taoist books that were huge hi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hen Chinese Taoist Gwonseonseo was introduced in Joseon, translated and circulated in Korean, and spread widely among the public. Those works offer very specific cases of individuals doing good or evil deeds in this world and suffering the consequences in the next world. Jeoseungjeon presents the Buddhist experiences with the next world as the foundation with the next world depicted around the Great Jade Emperor, who emphasizes Confucian ethics, and the hierarchy of Taoist gods under the ultimate the Great Jade Emperor, thus clearly demonstrating the combination patter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work describes the scenes of judgment and punishment in the next world according to the witness of the main character and thus gives specific ideas of daily goods, which is a feature found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ttern of next world experiences. It is Taoist Gwonseonseo widely spread among the people those days that connects the link.

한국어

이글은 조선후기 성리학이 균열되고 확장되는 과정에서 종교적 윤리성이 강화되어 현세의 윤리적 실천이 내세의 복으로 이어진다는 세속적 생활윤리로 변화되고, 또 한편에서는 유불도 사상이 결합된 도교 권선서가 유입된 이래 언해, 간행되어 민간에 널리 퍼져 생활 이념화되었던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교의 세속화 및 조선후기 권선서의 윤리적 이념성이 19세기 한글필사본 소설인 「저승전」의 윤리관과 연결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19세기 勸善書가 갖는 시대적 의의를 살펴보고 「저승전」의 이념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선후기 勸善書는 크게 두 가지 축으로 구분할 수 있으니, 유교를 바탕으로 하되 귀신이나 冥界, 선행으로 인한 내세의 福利 등 종교적 실천을 강조한 유교적 권선서와 주로 중국 도교 권선서의 언해로 유불도 사상이 결합되고 옥황상제, 문창성군 등 도교의 신을 尊崇할 것과 선행으로 인한 복을 받은 이들의 예화를 적극 수록한 도교적 권선서가 그것이다. 이 중 유교적 권선서는 조선후기 경학 연구자였던 沈大允의 󰡔福利全書󰡕에서 그 일단을 찾아볼 수 있는데, 󰡔복리전서󰡕의 序文에서 드러나듯 이 책은 일반 백성들의 행동 교화를 목적으로 하여 기본적으로 유학자의 입장에 있으면서도 저서 곳곳에서 귀신과 저승의 보응을 강조하여 천인감응의 인과론과 이승에서의 선행을 적극 강조한다. 심대윤의 사상은 성리학의 관점과 달리 내세와 보응을 중시하고 불교의 윤회설과 유사한 듯하지만, 이는 철저히 현실에서의 선행과 그로 인한 복리를 강조한 것일 뿐 귀신을 섬기거나 현실을 부정하는 종교적 태도와는 다르다. 조선 후기 권선서 유행의 다른 한 축인 도교 권선서는 충효 등의 유교 윤리를 권선징악적 입장에서 강조하고 그 실천을 통해 복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는 입장에서 유교적 권선서의 태도와 유사하다. 다만 중국 도교 권선서의 언해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도교의 신들을 엄히 신봉하고 탄신일을 지키며 일상에서 지켜야 할 덕목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세세하게 제시한다. 이는 현실에서의 행동 하나하나가 모두 신의 감시 하에 있으며 그에 대한 점수가 사후와 직결된다는 의식이 강했기 때문이다. 이들 도교 권선서는 임금의 명과 지식인들의 적극적 개입뿐 아니라 민간에서는 책을 간행, 배포하는 것만으로도 복을 받는다는 의식 때문에 파급력이 매우 컸다. 특히 도교 권선서에는 이승에서 선악을 행한 뒤 저승에서 겪는 구체적 사례를 매우 다양하고 방대하게 수록하였는데 도교 권선서의 이러한 서사성은 여성을 비롯한 하층민에게 도교 권선서가 효과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었던 원인이 되었다. 생활 속 실천 윤리의 강조와 보응이라는 소박한 종교적 태도의 유교 권선서와 종교적 성향은 훨씬 강하긴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행동 규칙을 세세하게 제시함으로써 권선의 목적을 확실하게 드러낸 도교 권선서는 종교의 차원을 넘어 조선후기 서민들의 일상 속 윤리 교과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담당하였다. 19세기 필사본 한글소설 「저승전」은 선승인 지선이 得病하여 저승에 다녀온 내용으로, 일반적 불교 저승체험담의 형식을 지니면서도 이념 지향 면에서 독특한 면모를 지닌다. 「저승전」은 기본적으로 불교적 인물의 저승 체험이라는 불교적 외피에, 옥황상제나 각종 도교적 신들의 위계에서 보듯 도교적 상상력과 삼강오륜 등의 유교적 윤리가 어우러져 있다. 그중에서도 주인공이 목격한 저승의 심판 장면은 매우 구체적이고, 단지 추상적 善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직분과 신분에 따라 지켜야 할 사항을 일일이 제시하며 이를 어긴 자에 대한 처벌 또한 상세히 묘사하였다. 이러한 「저승전」의 특징은 바로 19세기 권선서에서 일반 백성들에게 선행과 보응의 엄밀함과 선행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여 생활 속 실천으로 이끌고자 하던 당시의 사회 문화적 분위기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조선후기 성리학의 통속화와 勸善書의 유행
  1. 儒敎勸善書를 통한 일상 윤리의 강조
  2. 儒彿道통합의 道敎勸善書언해와 보급
 Ⅲ. 「저승전」의 이념성과 생활 윤리적 면모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숙 Kim Jeong Suk. 고려대학교 대학인문역량강화(CORE) 사업단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